2030년 미래차 혁신기업 300개 육성,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머니투데이 세종=최우영 기자 2018.02.09 04:29
글자크기

핵심기술 개발과 인력양성·기존 부품기업들의 사업전환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 목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일 오전 자율주행 자동차 시승행사장인 서울 서초구 만남의 광장 휴게소에서 신형 수소 자율차량인 넥쏘에 올라 현대자동차 자율차 개발팀장인 이진우 상무의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청와대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일 오전 자율주행 자동차 시승행사장인 서울 서초구 만남의 광장 휴게소에서 신형 수소 자율차량인 넥쏘에 올라 현대자동차 자율차 개발팀장인 이진우 상무의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청와대


"우리가 '포니'에서 시작해 짧은 시간에 세계적인 강국이 됐듯 수소차와 전기차 등 미래자동차 분야에서도 강국의 힘을 키워봅시다. 2022년까지 모든 고속도로와 스마트도로에서는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일 경기 성남의 판교지원허브에서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겸 자율주행차 '넥쏘'를 시승하며 미래차산업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이같이 드러냈다.



정부는 향후 3~4년을 미래자동차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할 '골든 타임'을 보고 있다. 이를 놓치지 않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를 중심으로 35조원을 투자해 핵심기술을 국산화하고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전기차를 2030년 300만대까지 보급, 전기차 대중화시대를 이룰 계획이다. 전기차는 지난해까지 2만5000여대 보급됐으며, 2022년엔 35만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2022년까지 급속충전소를 대형마트와 고속도로 휴게소 등의 거점에 1만개 설치한다. 공공부문의 친환경차 의무구매비율은 올해 70%에서 2022년 100%까지 늘린다. 대중교통과 트럭은 2019년부터 전기차로 전환한다.

또 자율주행차 핵심부품 기술을 개발하고 시범 사업 실시해 2020년까지 전국의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차가 달릴 수 있게 만든다. 2022년에는 완전자율주행 기반을 마련하고, 2030년에는 모든 도로에서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수입에 의존해왔던 라이다 등 9대 핵심부품은 2021년까지 국산화한다. AI(인공지능), 차량용 반도체도 2023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규제 샌드박스 특구를 올해 2곳 지정하고, 대구에서는 실제 도로에서 대학생 자율차 경진대회를 연다.


지난해 대학 4곳에서 56명의 석박사급 R&D(연구개발) 핵심인력을 양성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맡게 했는데, 2020년에는 대학 10곳에서 200명이 배출되도록 한다.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KS(국가표준)도 선제적으로 도입해 지난해 93종에서 2021년 200종까지 늘린다.

아울러 정부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관련기업들이 미래차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 2022년까지 글로벌 중견기업 17개, 혁신형 중소기업 13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을 잡았다. 2030년에는 중견기업 30개, 혁신형 중소기업 30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 같은 미래차산업을 통해 신서비스 일자리도 만든다. 전기차를 전력망에 연결하는 V2G(Vehicle to Grid) 사업은 올해 실증사업에 들어가 전기차 1대로 3가구의 1일치 전력수요를 충당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기술(IT)기업 등이 미래차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AMS(Automotive Manufacturing Service, 자동차제작 서비스기업)를 올해 도입한다.

또 자동차기업들이 미래차사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존 부품기업과 IT기업의 교류와 협력을 지원한다. 혁신모험펀드 등을 활용해 사업재편과 M&A(인수합병)도 돕는다.

지난해 출범한 민관 합동의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는 올해부터 환경 안전규제, 기술혁신, 노사문제 등에 대응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미래차 관련 법과 통계도 재정비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세계 5위의 완성차 기업으로 성장한 현대기아차가 미래차 시장에서도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과감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특히 핵심부품의 기술개발과 전기·자율차 기반의 연관 신산업 창출을 위해 국제 업계는 물론 기술력 있는 국내 업계와의 전략적인 협업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