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만 관광객 원년 될까] ② “세계인보다 국내 관광객 입맛 먼저 맞춰야”

머니투데이 김고금평 기자, 구유나 기자 2018.01.03 03:30
글자크기

‘2018 한국 관광정책 새판짜기’…지역 특화 콘텐츠 살리고 중국 등 고부가화 ‘주력’

'2000만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는 관광의 양이 아닌 질적 성장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대대적인 국내 지역 관광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 개선에 나섰다. /사진=이동훈 기자'2000만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는 관광의 양이 아닌 질적 성장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대대적인 국내 지역 관광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 개선에 나섰다. /사진=이동훈 기자


‘2000만 관광객’ 유치를 위한 행보가 빨라지면서 한국 관광정책도 양에서 질로 근본적으로 수정되고 있다. 양적 성장만으로는 관광객의 재방문이나 고부가가치 관광객의 새로운 유입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평창 동계올림픽이 코앞으로 다가오자 질적 성장이 근시안적 대책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중국과 일본에 의존하던 관광시장이 베트남, 인도, 러시아 등으로 확대하는 다변화 정책에 대한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올림픽 특수’로 비치는 비자 완화 남발이나 관광 프로모션이 선심성 정책이란 의견이 적지 않다.



정창수 한국관광공사 사장은 이에 대해 “올림픽 특수로 비쳐도 중국 관광객 등의 방한을 막을 수는 없어 다른 국가와 비슷한 기준을 마련한 것”이라며 “올림픽 기간엔 양과 질의 성장을 동시에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비자 완화 등 일시적인 조치를 제외하면 질적 정책은 올림픽이 끝난 이후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질적 정책은 외래 관광객을 우선 대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닌, 국내 관광객부터 ‘매력’과 ‘만족도’를 높이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결국 지역 관광 활성화를 통해 국내 관광객을 만족시켜야 세계인도 만족한다는 의미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1월 3일 오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방한 관광시장 활성화 정책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1월 3일 오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방한 관광시장 활성화 정책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이를 위해 정부는 현재 지역 주도형 관광산업인 관광두레 사업을 2017년 198개에서 2022년까지 1125개로 6배가량 늘리기로 했다. 지역 특화 콘텐츠를 발굴하고 그 품질을 향상해 지역 관광 만족도를 높이자는 것이 목적이다. 또 숨은 관광지를 발굴하고 해양생태마을 등 생태관광을 활성화하는 한편, 등급제 개편을 통해 대표 명소를 구분하는 절차도 단행한다.

바가지요금 등으로 골머리를 앓는 숙박업도 통합관리시스템으로 일원화한다. 관광숙박업은 2022년까지 다른 분야 업종으로 확대해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중화권 여행업자 200명이 광명동굴테마파크를 둘러보고 있다. 광명동굴은 1972년 폐광된 동굴을 대표 관광지로 발전시킨 지역 관광 우수 사례다. /사진=한국관광공사중화권 여행업자 200명이 광명동굴테마파크를 둘러보고 있다. 광명동굴은 1972년 폐광된 동굴을 대표 관광지로 발전시킨 지역 관광 우수 사례다. /사진=한국관광공사
다변화 정책에서도 질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관광산업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고부가가치 관광 콘텐츠 발굴이 시급하기 때문. 한류와 연계한 관광상품을 도입하고, ‘웰니스 관광클러스터’ 선정·지원하고 웰니스 관광을 25선으로 확대하는 것도 소수지만 지출이 많은 비(非) 중국 관광객을 위한 필수 유인책이다.

중국 단체관광의 고부가화도 요구된다. 방문 지역 편중, 쇼핑 중심의 저가 관광, 영세 업체의 관광 수요 창출 한계 등의 취약한 여건도 개선할 계획이다.

‘200만 관광객’ 유치 이후의 안정적이고 더 나은 질적 성장을 위해 관광산업 육성펀드도 2022년까지 총 1500억 원이 조성된다. 다른 분야와의 융·복합 서비스나 IT 기반의 첨단 기술을 선보이는 기업 800개를 발굴해 한국 관광산업의 새 얼굴을 선보인다는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