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개'로 웃었던 두산重, '탈원전 로드맵'에 다시 고민

머니투데이 강기준 기자, 안정준 기자 2017.10.24 17:29
글자크기

정부 공론화 과정 바탕으로 신규 원전 건설백지화 재확인…두산重 탈원전 '플랜B' 모색

24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7 한국기계전' 개막식에 참가한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한국기계산업진흥회 회장, 왼쪽 세번째)가 테이프 커팅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강기준 기자.24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7 한국기계전' 개막식에 참가한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한국기계산업진흥회 회장, 왼쪽 세번째)가 테이프 커팅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강기준 기자.


두산중공업 (18,050원 ▼50 -0.28%)이 탈원전 시대 먹거리 창출에 대한 고민에 빠졌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로 일단 한숨은 돌렸지만 정부가 '탈원전 로드맵'을 통해 신규원전 백지화 방침을 분명히 해서다. 회사는 당분간 국내 수주는 없다는 가정하에 해외시장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4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에너지전환(탈원전) 로드맵'을 확정했다. 신한울 3·4호기 등 예정된 신규 원자력발전소 6기 건설을 백지화하고 설계수명이 도래하는 원전의 계속 운전도 원칙적으로 금지한다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국내 원전은 올해 24기에서 2031년 18기, 2038년 14기 등으로 감축된다. 정부는 단계적 감축방안을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다.

국내 유일의 원전 핵심설비 공급자인 두산중공업은 장기적 원전 먹거리 확보라는 근원적 고민에 다시 빠지게 됐다. 공론화 과정을 통해 회사가 수주한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 결정이 내려렸지만, 신고리 5·6호기 이후 국내에서 추가 수주가 사실상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은 전체 매출의 15% 가량을 국내 원전 수주를 통해 창출한다.



정부의 탈원전 로드맵에 대해 두산중공업은 입장을 유보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정부 방침에 당장 입장을 밝히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날 탈원전 로드맵 발표에 앞서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7 한국기계전'에 정지택 두산중공업 회장도 "오늘 (탈원전 로드맵)발표가 난다고 했는데 섣불리 얘기한다는 게 실언을 할 수도 있다"며 말을 아꼈다.

해외원전 수주 등을 정부와 함께 추진해야 하는 두산중공업 원전 사업 특성상 정부 정책 관련 입장을 내놓기가 조심스러운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은 국내 신규 수주가 사실상 없는 상황을 가정한 '탈원전 플랜B' 가동에 나설 것이란 게 업계의 전망이다.

우선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 공략에 눈을 돌릴 것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은 급성장할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 공략을 위한 기술개발을 이미 사업목표로 설정해둔 상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원전 해체는 해체 설계를 중심으로 한 엔지니어링과 제염·해체 작업, 해체 폐기물 관리 등 단계로 세분화된다"며 "특히 제염·해체 부문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국내외 업체들과 기술개발과 제휴를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해외 원전 수출도 플랜B의 한 축이다. 신규 원전은 개발도상국에 집중될 전망이다. 베트남은 2030년까지 총 10기를 건설할 예정이며 인도는 2050년까지 원전 비중을 3%에서 25%로 확대한다.

다만 '플랜B'가 실제 매출을 창출하기까지는 현실적으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원전 해체시장의 경우 당장 국내 시장에서 기술을 숙성시키는 데에만 1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업계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현재 전 세계에서 원전을 완전 해체한 경험이 있는 나라는 미국과 독일, 일본 3개국인데 이들과 당장 경쟁하기는 힘들다.

원전 해외 수출은 두산중공업이 주도적으로 성과를 만들기는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국가 간 사업으로 추진되는 원전 해외 수출 특성상, 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가스터빈과 풍력발전, 에너지저장시스템 등 신규 사업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