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 '산증인' 지역난방공사

머니투데이 세종=정혜윤 기자 2017.09.22 04:30
글자크기

1985년 '한국지역난방주식회사'로 출범… 현재 전국 144만호 공동주택·2260개 상업건물 난방 공급

#.1970년대 1·2차 석유파동으로 국가적 위기를 경험한 정부는 범국가적인 에너지절약 캠페인을 전개하는 한편, 지나치게 높아진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에너지원 다각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이 같은 노력의 하나로 떠오른 게 ‘지역난방’이라는 집단에너지사업이었다.

집단에너지는 열병합발전소 등 1개소 이상의 집중된 에너지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열과 전기를 다수 사용자에게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액화천연가스(LNG)를 태워 50% 미만은 전기를 생산하고, 나머지는 난방, 급탕, 난방용 에너지를 주거용·상업용으로 공급하는 구조다.



화석연료 난방으로 대기오염이 심각했던 1985년 11월 지역냉·난방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에너지절약과 대기환경을 개선하자는 목표를 갖고 ‘한국지역난방주식회사’가 출범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가정·상업용 지역난방 사업자가 탄생한 순간이다.

회사는 1987년 11월 여의도, 동부이촌동, 반포지역에 지역난방을 공급했다. 이후 1989년 정부의 5개 신도시 주택 200만호 건설계획과 함께 지역난방이 급격히 확대됐다. 서울 근교 분당, 고양, 중동, 평촌, 산본 등 수도권 5개 지역에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정부는 신도시에 선진기술인 열병합발전에 의한 지역난방을 도입하기로 했다.



1992년 5월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라 회사는 공공법인인 ‘한국지역난방공사’로 전환됐다. 1993년 상공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집단에너지사업 보급 확대를 위해 ‘제1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1992년 말 총 주택호수 3%에 머물러 있는 보급률을 2001년까지 15% 수준으로 확대하는 게 핵심이다. 정부 정책에 힘입어 집단에너지 사업은 더욱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1994년 12월 공사는 정부로부터 100억원을 출자 받았다. 이후 공공부문 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된 민영화 계획에 따라 2000년 8월 안양 및 부천지사 지역난방시설(현 GS파워)을 분리 매각했다. 2010년 1월 증시 상장과 함께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됐다.

집단에너지 역사의 산증인으로 꼽히는 지역난방공사는 설립될 당시 자산 12억원 규모였지만, 지난해 말 기준 매출액 1조7198억원, 자산 5조1338억원 규모까지 커졌다. 불과 30여명이었던 직원 수는 1759명(상임이사 5명 포함)으로 늘었다.


공사는 지난 6월말 기준 난방 741만6000기가칼로리(Gcal), 냉방 17만7000Gcal, 전력 398만2000메가와트시(MWh)를 판매했다. 총 18개 사업장(수도권 12개, 지방 6개)에서 144만호 공동주택과 2260개소 상업건물의 지역난방을 책임지고 있다. 건물 715개소 지역냉방도 공급하고 있다.

지역에 버려지는 쓰레기 소각열, 매립지에서 방출되는 메탄가스 등을 회수해 지역난방 열 생산에 활용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바이오매스, SRF(고형폐기물연료), 하수열, 바이오가스, 지열,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해 전기를 생산한다.

공사는 대구, 신안, 분당, 판교, 수원, 양산 등에 태양광설비를 가동해 지난해 기준 연간 1585MWh 전기를 생산했고 소각열을 통해서는 연간 168만2000Gcal 열을, 소각스팀으로도 8만1000MWh 전기를 생산했다. 매립가스(LFG)와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연간 전기 1만1000MWh를 만들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