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GW 백업설비 필요하다는 8차 전력계획...비용추산은 無

머니투데이 최우영 기자 2017.09.19 17:52
글자크기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 워킹그룹 "경제성은 추후 논의 예정"

다음달 확정될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20% 수준으로 높아질 경우 2GW(기가와트) 이상의 전력 백업설비가 더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실제 들어갈 비용에 대한 추산은 전혀 이뤄지지 않아 향후 경제성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8차 전력계획 신재생에너지 워킹그룹은 19일 오후 서울 코엑스에서 가진 5차 회의에서 풍력, 태양광 등 기후 변동성이 큰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검토 결과 빠른 시간 안에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ESS(전력저장장치) △가변속양수 △가스터빈 단독운전이 가능한 LNG복합발전 등의 백업설비 확보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워킹그룹에 참여한 박만근 전력거래소 전력기술팀장은 "백업설비 검토 결과 총 전력수요 2% 수준 예비율 상승이 적합하다고 보여진다"며 "전력량 최대 피크치의 101GW의 2%인 2GW 정도"라고 설명했다. 박호정 고려대 교수는 "이 내용이 10월 최종안에 그대로 반영될 것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백업설비 구축에 따른 비용 추산 등 경제성 검토는 이뤄지지 않았다. 박호정 교수는 "짧은 시간 안에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수많은 키워드를 건드렸고, 그걸 바탕으로 여러 계획이 수립돼야하는 것"이라며 "저희들이 다 깊게 보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은 "이번에는 총론으로 방향을 잡은 측면이고 각론은 향후 진행될 것"이라면서 "총론은 다른 나라에 비해 빨리 잡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상훈 소장은 "ESS를 통한 전력 백업의 경우 1㎿ 당 7억원 가량의 투자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시장에서 얘기된다"고 설명했다.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 따른 전력 예비율을 ESS로 전량 대체할 경우 산술적으로 1조4000억원이 필요하다. 1kW당 80만~100만원의 비용이 필요한 LNG복합발전으로 전량 구축할 경우에는 1조6000억~2조원이 필요하다.

박호정 교수는 "백업설비로 대표적인 검토자원은 ESS이며 추가적으로 양수, 가스터빈과 LNG복합을 논의했다"며 "유연성 자원(백업설비)이 어떠한 구성으로 들어올지는 투자나 제도, 정책, 기술을 예측할 수 없기에 비용 추산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한편 신재생에너지 워킹그룹은 또한 변동성에 대비하기 위해 백업설비 외에도 발전량을 예측·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을 2020년 이후 운영하고, 빠른 시간 내 출력 향상이 가능한 유연성 설비에 대한 투자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역시 추진해야한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