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설비 예비율 논란 끝에 22% 산정(상보)

머니투데이 정혜윤 기자 2017.09.13 18:00
글자크기

최소 설비예비율 13%와 수급불확실성 대응 예비율 9% 합쳐 22%로 산정

2031년 적정 설비예비율이 22%로 산정됐다. 2년 전 마련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년)때 예비율 전망치 22%와 같은 수준이다.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 예비율 워킹그룹은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적정 설비예비율은 최대전력 수요가 발생하는 시점에 전력 수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기 위해 필요한 예비전력 비율을 말한다. 실제 최대 전력수요가 예측한 전력수요보다 증가하거나, 발전소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전력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고려한 수치다.

워킹그룹에 따르면 최소 설비예비율 13%에 수급불확실성 대응 예비율 9%를 반영했다. 최소 설비예비율은 발전소 정비나 고장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비율이고, 수급불확실 예비율은 수요변동, 발전소 건설지연 등에 따라 필요한 비율이다. 최소 예비율 13%는 신재생발전의 간헐성까지 고려한 수치라는 설명이다.



지난 11일 공개한 8차 설비계획(초안)에서 적정 설비 예비율을 20~22%로 발표한 바 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전체 발전원에서 원자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 예비율이 최대 2%p 낮아질 거란 예상이 제기됐다.

그런데 예비율이 7차와 같은 이유는 원전 비중이 줄었지만 신재생 비중을 늘렸기 때문이다. 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설비 비중이 높을수록 예비율이 높다.

김욱 부산대 교수는 "신재생 에너지를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의 간헐성 보완이 필요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양수발전소, 가스터빈 단독 운전이 가능한 LNG(액화천연가스)복합발전소 등의 백업설비 확보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