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했던 조선 파업 현실화… 구조조정 격랑 속으로

머니투데이 최우영 기자 2016.07.06 17:24
글자크기

삼성重 노협 7일 한시적 파업 예정, 대우조선해양 파업 재투표 압도적 찬성 가결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 대표단이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삼성그룹 서초사옥 본관 앞에서 보안업체 관계자에게 항의서안을 전달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정부가 조선업을 특별고용업종으로 지정한 지난달 28일 파업을 결의했다. /사진=뉴스1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 대표단이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삼성그룹 서초사옥 본관 앞에서 보안업체 관계자에게 항의서안을 전달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정부가 조선업을 특별고용업종으로 지정한 지난달 28일 파업을 결의했다. /사진=뉴스1


구조조정을 겪고 있는 조선 '빅3'가 인력감축에 반대하는 노동조합의 파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채권단은 노조의 파업시 추가 자금 지원을 끊겠다고 공언한 상황이어서 구조조정 작업이 극심한 진통을 겪을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노협)는 7일 오후 1~5시 4시간 전면파업을 예고했다. 구조조정에 돌입한 조선업체 중 올해 첫 파업이다. 삼성중공업 노협은 지난 5일 오전 거제조선소 K안벽에서 집회를 열며 안벽 작업자들의 현장 진입을 차단하기도 했다.



삼성중공업 노협은 자구안에 따른 인력감축 계획을 철회한다면 파업에 돌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사측에 전달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중공업의 자구안 이행이 사실상 채권단의 의지에 따른 것임을 감안하면, 노협은 무조건 파업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풀이했다.

삼성중공업 노협은 조선 빅3 중 유일하게 사측과 공동으로 수주활동을 벌이고, 임금동결을 먼저 제시하는 등 위기극복에 공감했지만, 사측의 일방적 인력 감축 및 복지사항 축소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우조선해양 (32,050원 ▼1,150 -3.46%) 역시 파업 절차에 돌입했다. 대우조선 노조는 이달 4~6일 파업 찬반 재투표를 실시해 총원 6979명 중 6225명이 참여한 가운데 찬성 5494명(88.3%)으로 파업계획을 통과시켰다. 반대표는 624명(10%), 무효 107명(1.7%)이었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지난달 13~14일 첫번째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해 찬성률 85%로 파업을 가결시키고 경남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 조정을 신청했다. 하지만 경남지노위는 대우조선해양이 사측 구조조정에 반발하며 가결한 이번 파업 방침에 대해 '조정대상이 아니다'는 결정을 내려 파업 절차 돌입을 저지했다.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안 때문에 노조 구성원 근로조건·단협 조항을 침해받은 건 아니라는 판단이었다. 이에 노조는 파업 근거를 '사측의 불성실한 단체협상' 등으로 바꾼 뒤 재투표를 진행한 것이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본격적인 파업에 앞서 오는 7일 옥포조선소 내 민주광장에서 '일방적 구조조정 저지, 생존권사수를 위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예고하고 있다. 이에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노동조합도 회사가 어려운 상황인 걸 알기때문에 교섭을 통해 잘 협상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현대중공업 (131,500원 ▼1,200 -0.90%) 노동조합은 우선 이번주 임단협에 매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일 중앙노동위원회가 현대중공업 노조에 '조정종료' 통보를 해 파업 찬반 투표를 위한 선결 절차는 마친 상태다. 노조는 이번주 교섭 결과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음주 중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빅3를 포함, 8개 조선업체로 구성된 조선업종 노조연대(조선노련)에서도 인력감축에 반대하는 공동투쟁 날짜를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업계 구조조정이 파업 암초를 만나자 정부는 최근 조선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면서 파업 가능성이 높은 빅3 업체는 대상에서 제외하는 강수를 뒀다. 각 조선업체 채권은행단 역시 분규 발생시 추가지원 불가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금융당국 모두 분규행위 발생으로 인해 적기 구조조정에 차질을 빚을 경우 조선업체 지원 방안을 축소할 수 있다는 방침이고, 노조 역시 물러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며 "채권단의 지원이 끊기고, 경영에 더 큰 차질을 빚는다면 인력감축 규모 확대 등 구조조정 범위가 늘어날 명분을 만들어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