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없는 서울대·고려대, 고교 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상위권에 선정

머니투데이 최민지 기자 2016.05.18 11:40
글자크기

특기자전형 정원 많은 연세대 예산 하위권, 중앙대·원광대 등 재단비리 대학은 제외

논술 없는 서울대·고려대, 고교 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상위권에 선정


서울대가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20억원을 지원받는다. 논술전형을 전면 폐지한 고려대 역시 17억원의 예산을 배정받았다. 반면 특기자전형이 많은 연세대는 3억원대로 예산이 대폭 삭감됐다.

지난해 사업 탈락으로 인해 입학사정관 전원을 해고했던 성균관대는 노력 끝에 다시 예산을 받게 됐다. 재단 관계자가 비리로 인해 재판 중인 중앙대, 광운대는 지원사업 대상에서 제외됐다.



◇'논술·특기자전형' 축소한 대학은 예산 대폭 유치=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8일 '2016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사업은 고교교육 중심의 입시 전형을 운영하고 입학사정관 확충 등 입시 운영 역량을 강화한 대학에 예산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올해 선정된 대학은 지난해와 똑같은 60곳이다. 가장 많은 예산을 받은 대학은 서울대(20억원)다. 뒤이어 경희대 19억1000만원, 고려대 16억6300만원, 명지대 15억5000만원, 동아대 13억9300만원 등이 예산을 많이 받았다. 특히 고려대는 지난해 6억5000만원에 비해 예산이 대폭 늘었다.



상위권에 오른 3개 대학의 특징은 '논술전형 축소'에 있다. 서울대는 논술전형이 없으며 고려대는 2017학년도부터 논술전형을 없애겠다고 지난해 발표했다. 경희대 역시 논술전형 인원을 2017학년도 920명에서 820명으로, 특기자전형 정원을 2017학년도 241명에서 2018학년도 1999명으로 줄였다. 이와 함께 논술전형 외에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입학사정관 처우에 대한 부분도 다소 평가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는 입학사정관 수가 26명이며 해당 입학사정관의 평균 근속기간이 72.2개월로 신분안전성이 비교적 우수했다. 경희대 역시 입학사정관 수가 22명이며 이들의 평균 근속기간이 54.4개월에 달한다.

지난해 1차 심사에서 탈락해 입학사정관을 해고했던 성균관대, 서강대는 올해 다시 노력 끝에 60개 대학에 들었다. 두 대학은 각각 4억7000만원, 7억2000만원의 예산을 받게됐다.


◇재단비리 사립대학, 예산 지원에서 배제=반면 서울시내 주요 대학 중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은 대학들이 있다. 3억1000억원을 받은 연세대가 대표적이다. 한 사립대학 입학처장은 "연세대의 특기자전형 인원이 많은 점이 예산 사업의 발목을 붙잡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앙대와 광운대는 재단 비리가 예산 지원을 막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앙대는 캠퍼스 통합, 광운대는 건축수주 비리 등으로 인해 재단이 소송을 진행 중"이라며 "올해 발표된 정부재정지원사업매뉴얼에 따라 재단 비리에 대한 조사 중인 학교는 예산사업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서울대와 함께 가장 많은 돈을 받았던 건국대도 올해 예산이 5억4000만원으로 대폭 줄었다. 현재 건국대 설립자 유족들은 김경희 건국대 이사장을 횡령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상태다.

부산대는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차원에서 예산 지원을 보류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09~’10년 입학사정관제 지원 사업에서 부당하게 국고를 집행하여 반환을 요구했으나 대학이 현재까지 미이행 중"이라며 "돈을 반환할 때까지 예산을 주지 않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