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美 금리인상, 中위험과 맞물리면 韓 충격 배제못해"

머니투데이 권다희 기자, 유엄식 기자 2015.09.11 12:41
글자크기

(상보)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연 1.5%로 만장일치 동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석해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사진제공=뉴스1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석해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사진제공=뉴스1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현재 금리는 경기회복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자본유출의 여파가 우리나라에선 제한적일테지만 중국 경기불안과 맞물리며 신흥국 위험으로 전이되는 상황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연 1.5%)를 동결한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주열 총재는 "현 금리수준은 경기회복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완화적 수준"이라며 "장기 시장금리와 대출금리는 기준금리가 제로인 미국과 같거나 더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특히 우리나라 모기지론 금리는 미국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며 "현 금리수준 하에서 대출이 꾸준히 늘고, 통화량(M2) 증가율이 9%대에 육박한다"고 설명했다.

돈이 풀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등 일부 업종으로 쏠림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자금이 더 생산적인 분야로 흘러가 직접 제조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선 통화정책 이외의 미시정책 활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미국 금리인상 등에 따른 대외 리스크로 국내 경제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아직은 성장경로가 지난 번 한은의 전망을 벗어나지 않지만 미국 금리인상이 중국 경기불안 등과 맞물려 신흥국 위험으로 전이되면 우리나라도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는 외환부문 건전성이 양호해 자본유출 등 미 금리인상 충격이 다른 신흥국보다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며 자금유출 속도도 2013년보다 약하다"면서도 "미 금리인상이 중국 경기둔화 심화나 원자재 수출국 위기 등과 맞물려 일어나면 신흥국으로 리스크가 전이되며 이에 따른 우리의 충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와 함께 그는 "수출 부진의 해소 여부가 우리경제 회복세 지속에 가장 큰 관건"이라며 "수출은 부진하지만 최근 소비와 투자는 내수는 개선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7~8월 지표 흐름을 볼 때 아직 7월 전망했던 성장경로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다"고 진단했다.


한편 최근 해결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 된 기업부실과 관련해 이 총재는 "글로벌 경기가 둔화 움직임을 지속하고 있고 과잉공급의 문제로 일부 업종의 업황이 악화되고 부실 위험이 증대됐다"며 "대기업 뿐 아니라 중소기업에서도 한계기업의 구조조정은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계 기업이 확대되면 한정된 자원이 비 생산적, 비효율적 부분에 집중돼 성장 잠재력 확충에 제약을 줄 뿐 아니라 외부 충격이 발생했을때 곧바로 해당 기업의 부실이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기관 등 시장 중심의 상시 기업구조조정이 원활히 추진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