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변화가 가져올 또 다른 수혜

머니투데이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 2013.10.15 07:00
글자크기

[머니디렉터]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


8월을 기점으로 중국 경제의 반등추세가 이어지자 시장은 중국에 대한 우려를 기대감으로 채워가고 있다. 하지만 신정부의 개혁 과정에서 수반되는 중장기적 성장률 둔화의 우려는 여전히 존재하고 중국의 반등을 즐기기에는 해결되지 못한 불안 요인들도 눈에 밟힌다.

중국 경제에 대한 국내의 대응전략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



리커노믹스(Likonomics)로 대변되는 신정부 경제정책의 최종 목표는 과거 고성장의 이면에 누적돼온 불균형과 불안요인을 정상화하고 중국의 장기적 성장모델을 구축해 중국이 규모가 아닌 질적인 측면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혁은 고성장을 포기하는 대신 정부정책이 아닌 시장의 기능과 금융의 역할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 중국경제의 영향도가 높은 한국 입장에서는 단기 성장률 변화에 집착하기보다 중국의 중장기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편승해야 함도 이 때문이다.



중국의 고성장은 염가생산비용을 기반으로 한 대외수출과 정부 주도로 이루어진 대규모 투자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중국에 중간재를 수출하며 직접적인 수혜를 누려왔고 특히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4조위안의 정부 부양정책은 한국의 대중국 수출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게 했다.

하지만 생산 캐파와 재고 과잉,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 약화 등의 원인으로 한국산 중간재 품목의 시장점유율은 로컬 제품과 중동산으로 대체됐고 이는 국내 중간재 업종의 주가 조정으로 이어졌다. 중국 투자확대의 빅싸이클은 과도한 레버리지를 통해 이뤄졌고 이는 그림자금융과 지방정부 부채문제, 기업의 부채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리커창 총리가 디레버리징을 강조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며 이는 투자가 과거의 수준으로 회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중국의 개혁과 변화는 한국에 또 다른 기회로 다가서고 있기도 하다. 한국의 중국향 수출 비중에서 이같은 변화는 이미 진행돼 가고 있음이 확인된다. 한국의 중국향 수출에서 IT제품과 소비재 품목은 올해를 기점으로 중간재 비중을 넘어섰다.

중국 현지 공장에서 생산돼 유통되는 품목까지 더하면 이 차이는 더욱더 분명해 질것이다. 과거 중국의 고성장은 정부와 기업 그리고 부동산 소유자의 부를 확대시켰지만, 신정부의 정책대로 임금상승과 사회안전망이 개선될 경우 7% 성장률 수준에서도 중국인의 소득과 소비는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확대될 수 있다.

한국산 소비재 제품은 브랜드 선호도가 높아 경쟁력이 높은 한국산 제품은 중국 소비확대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다. 중국의 IT업종은 중국 로컬기업의 경쟁력이 확대됨에 따라 완성품의 점유율을 높여가기보다 중간 부품업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가 육성하려는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바이오(BIO) 등의 영역에서도 빠른 속도로 시장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국내기업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경제성장률 0.1%포인트에 집중하기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중국의 구조적 변화로 한국경제가 누릴 수 있는 또 다른 기회에 대해 집중해야 한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