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를 담은 리모델링이 답이다"

머니투데이 김유경 기자 2013.05.16 05:42
글자크기

[행복주택시대, 도시재생이 답이다<7-3>]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

편집자주  동서양을 잇는 국제금융과 무역의 중심지 홍콩. 서울의 1.8배 정도 면적에 인구 750만명이 사는 중국의 특별자치 도시국가다. 여기에 홍콩을 드나드는 중국인과 외국인이 연간 2000만명에 달해 항상 사람들로 넘쳐난다. 좁은 땅에 많은 인구가 살다보니 오피스와 주거공간은 초고층 빌딩으로 지을 수밖에 없다. 중산층 이상의 일반적인 주거형태도 주상복합아파트 개념이다. 특히 철도기지에 인공대지(데크)를 조성, 복합단지로 개발해 토지활용을 극대화하고 있다.  버블경제의 정점에 있던 일본 역시 도심의 주택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쿄의 한 전철역 철도기지에 임대아파트단지를 조성한 사례가 있다. 나아가 공공시설과 민간상업시설이 공존하는 복합단지 개발은 도심재개발의 모범사례로 꼽한다.  박근혜정부의 핵심 주거정책인 '행복주택'은 이같은 방식의 모델을 검토 중이다. 이명박정부가 추진해온 보금자리주택사업이 '직주근접'보다 도시 외곽의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로 개발, 서민층의 주거안정에 미흡했다는 지적에 따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박근혜정부의 행복주택 시범사업은 우선 선로 옆 유휴부지와 폐선 등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당초 철도기지나 선로 위에 인공대지를 조성하는 방식은 비용과 기술적 문제를 두고 논란이 있는 게 사실이다.  홍콩과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앞서 이같은 방식의 도시재생사업을 적극 활용하는 사례가 많다. 직접 현지를 둘러보고 문제점은 없는지, 이를 극복하는 방향은 무엇인지 모색하고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과제를 살펴본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


 "그동안 철거 중심의 재개발로 도시재생을 해왔다면 앞으로는 친환경과 문화가 담긴 리모델링 위주의 도시재생이 될 겁니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사진)은 "철거를 하더라도 문화가 담긴 도시재생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실장이 말하는 문화란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출발한다. 벤치마킹 대상으로는 스페인 마드리드의 임대아파트를 꼽았다.

 5년 전 지어진 마드리드 임대아파트에는 마치 거실처럼 여러 이웃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10층 건물로 10가구당 커뮤니티공간이 하나씩 있는 식이다.



 이 공간은 일부 창고로 쓰이기도 하고 화분을 같이 가꾸는가 하면 소파를 놓아 사랑방을 만들기도 한다. 재건축할 때 빈틈없이 가구수를 늘려 사업성을 높이는 우리나라 건축문화와 매우 대조적이다.

 게다가 건물마다 디자인이 다르고 가구마다 평면설계도 다르다. 이 실장은 "특히 임대아파트인데도 디자인 수준이 매우 높다"면서 "건물 내에 골목길까지 만들어놨을 정도로 특색이 있다"고 밝혔다.



 지금은 주택 개념이 소유에서 거주로 넘어왔으니 우리나라에도 공동체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이러한 커뮤니티 공간의 수요가 있을 것이란 게 이 실장의 생각이다.

 이 실장은 "그동안 우리나라가 압축성장을 해왔으나 이제는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고령화와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도시의 쇠퇴가 심화되고 있어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동네가 생동감이 있으려면 문화가 필요하다"며 "이제 주택은 부동산(재테크)의 개념이 아닌 고향 같은 마을, 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시재생에서 친환경과 에너지절약은 기본이다. 이를 바탕으로 콤팩트한 도시디자인이 지식산업, 창조산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이 실장은 말했다.


 사유재인 건물도 외관(디자인)만큼은 공공재라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고 이 실장은 강조했다. 그는 "토지나 건물은 개인재산이지만 건물의 외관은 불특정 다수가 보는 만큼 공공재 역할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