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현기환, 뭘 갖고 '최측근'이라는지···"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이미호 기자 2012.08.15 01:30
글자크기

박근혜-김문수, '입씨름'···"여성·노인비하, 119도" vs "탈당해놓고 사과안해"

ⓒ뉴스1제공ⓒ뉴스1제공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경선 후보는 14일 '공천헌금' 파문에 연루된 현기환 전 의원에 대해 "현 전 의원을 최측근이라고 하는데 뭘 가지고 그런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다"고 부인했다.

박 후보는 이날 경선 후보 5인이 참석한 MBC 100분 토론에서 "현 전 의원을 두고 '공천 때 박 후보의 의중을 전달한 사람'이라는 얘기가 있고, 박 후보가 부산에 갈 때마다 현 전 의원이 가까이에 있었다"는 임태희 후보의 지적에 이 같이 답했다.



다만 박 후보는 "현 전 의원을 공천심사위원으로 추천하지 않았냐"는 질문에는 "예. (19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분들 중에"라며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나 다른 후보자들의 '공천헌금' 관련 공세에 대해서는 적극 반박에 나섰다. 그는 "용어부터 '공천헌금'이라고 쓰는 건 말이 안 된다. 금품수수 또는 개인비리지 당에서 헌금을 받은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현영희 의원이 비례대표 25번이었는데 당시 상황으로는 당선권 밖으로 봤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공천문제를 계속 얘기하는데 내가 어떻게 당 대표를 했는지 아시는 분들이 이래서 좀 섭섭한 생각이 든다"며 "새누리당에 민주적 상향식 공천이 도입됐을 때, 의원총회를 최고 의결기구로 격상시켜 당내민주화를 이뤘던 때, 총재가 독점하던 재정권을 당에 돌려줬을 때, 모두가 내가 당 대표를 했던 때"라고 강조했다.

임 후보가 "한 비례대표 후보자는 공천발표 하루 전 '축하한다'고 전화를 받았는데 다음날 빠져 있어서 알아보니 '박 후보가 바꾸기 원했다'는 얘기를 들었다더라"고 비판하자, 박 후보는 "그런 터무니없는", "소설을 만들어가지고···"라며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최근 '네거티브' 공방으로 갈등의 골이 깊어진 박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입씨름'도 치열했다. 우선 김 후보는 "박 후보는 현 전 의원을 공천심사위원으로 임명했고, 현 의원이 주도한 포럼에 네 번이나 참석했다"며 "비례대표 명단을 보면 지금도 많은 의혹이 제기되고 있고, '친박 스폰서'라는 말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김 후보도 새누리당원인데 검찰 수사 결론도 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비례대표 의원을 비리에 연루된 것처럼 말을 만들고 있다"며 "이는 당원으로서 금도를 넘는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또 "말을 인격을 담는 그릇인데 김 후보는 여성비하, 종교비하, 119전화 등 말실수가 있었다"며 "이번 대선출마도 당초 생각지 않는다고 했다가 지난 4월 출마를 선언했고, 도지사직을 포기할 것처럼 하다가 포기하지 않았다. 지도자의 말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정중에게 국민에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말을 잘못하거나 실수한 적이 있지만 사과를 다 했다"면서 곧바로 "박 후보처럼 자기 맘에 안 든다고 탈당했다가 다시 당에 들어와 놓고 사과조차 하지 않은 게 문제"라고 역공에 나섰다. 이에 박 후보는 "또 사실을 왜곡한다. 그 때 내가 왜 (당을) 나갔는지 뻔히 알면서···"라며 얼굴을 붉혔다.

박 후보가 내세우고 있는 경제민주화 및 복지정책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김문수 후보는 "(박 후보 캠프의) 김종인 선대위원장은 5년 전 대선에서 정동영 민주당 후보의 자문위원을 한 사람"이라며 "경제민주화는 (5년 전 박 후보가 주장한) 줄·푸·세와 다른데 철학이 바뀌었나"라고 지적했다

김태호 후보는 "무상보육과 중증질환에 대한 100% 국가지원 등을 얘기한다. 복지공약의 총 예산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봤나"라며 "다음 세대를 담보로 재정을 쓰는 것은 정의롭지 못하고 가능하지도 않으며, 선거를 앞두고 포퓰리즘으로 밀어붙이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경제민주화는 지난 2009년 스탠포드 대학에서 강연할 때 얘기한 '원칙이 바로 자본주의'와 거의 내용이 같다. 몇 년 전부터 생각해 왔던 것"이라고 말했다. 고교무상교육 공약과 관련해서는 "많은 국가에서 10년간 의무교육을 하고 있다"며 "처음부터 무상교육이 아니라 매년 25%씩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