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기축통화, 금융개혁 없이는 불가능

머니투데이 베이징=홍찬선 특파원 2012.02.23 13:46
글자크기

프라사드 코넬대학교 교수 “10년내 기축통화, 금융개혁없이 불가능”

“중국의 위안화는 앞으로 10년 안에 기축통화가 될 것입니다. 다만 달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달러와 함께 주요 대외준비자산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선 외국인들이 안심하고 중국에 투자할 수 있도록 금융시장을 개혁해야 합니다.”

에스워 프라사드(Eswar Prasad) 미국 코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위안화가 기축통화가 되려면 중국의 국채와 회사채 시장이 활성화되고 자본유출입이 자유롭게 돼 외국인들이 위안화 자산에 마음놓고 투자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띠이차이징르빠오(第一財經日報)가 23일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중국부와 금융연구소의 부주임을 역임해 ‘중국통’으로 유명한 프라사드 교수는 “위안화가 기축통화가 되려면 유동성이 높고 안전한 금융자산이 발달돼 있어야 한다”며 “중국은 공공부채가 상대적으로 적어 국채시장이 형성돼 있지 않고 회사채 시장도 초보단계이며 주식시장 변동성도 커 외국자본이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금융시장의 미발달이 앞으로 위안화가 기축통화로 되는 것의 발목을 잡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 모델을 바꾸는 쭈안싱(轉型·구조전환)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커다란 제약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프라사드 교수는 “금융시장이 발달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자본자유화를 시행하는 것은 외환위기 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게 과거 30여년의 교훈”이라면서도 “자본자유화는 양질의 외국자본 유입을 앞당겨 국내금융 시장을 개혁하는 데 기여하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인도가 주식시장을 과감하게 개방함으로써 외국자본을 끌어들여 증시발전과 산업발전을 유도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처럼 중국도 3조달러가 넘는 외환보유액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위안화의 변동환율제 도입과 자본통제의 완화 등을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분석이다.



프라사드 교수는 중국이 최근 달러화 중심으로 돼 있는 외환보유액을 유로화 등으로 다원화하고 있는 것과 관련, “독일 자산 보유를 확대하는 것은 올바른 선택이지만 그리스 포르투갈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국채를 보유하는 것은 올바른 선택이 아니다”며 “중국이 외환보유액을 다원화할 필요는 있지만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해볼 때 여전히 달러화 자산을 보유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와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미국 및 유럽 국채 위기에서 동유럽을 제외한 신흥시장국가들이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몇 차례 위기를 겪으면서 위기 대응능력을 키운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프라사드 교수는 “위기가 발생했을 때 외환보유액이 6~8개월 사이에 3분의 1정도 감소한다”며 “외환보유액이 많을수록 위기 대응능력이 많아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외환보유액이 많다고 위기가 없을 것이라고 전제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