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해외진출 전략 '플랜트+자원'으로 바꾼다

머니투데이 유현정 기자 2011.08.08 07:00
글자크기

해외 제철소 지분 줄이는 대신 건설비용으로 수익 창출하는 방안 검토

포스코 (398,000원 ▼4,500 -1.12%)가 기존에 추진하던 현지 철강 생산을 통한 수익성 확보전략에서 '플랜트 수출+자원확보' 전략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해외에 포스코 소유의 제철소를 건설해 직접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이 현지 정서와 맞지 않아 계획이 지연되는 등의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제철소의 지분은 적게 갖는 대신 건설비용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현지 광산의 지분을 인수하는 전략을 검토 중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7일 "그동안 해외에 건설한 제철소 지분을 60~70% 이상 가지고 있었지만 앞으로는 지분을 20~30%대로 줄이는 대신 제철소 건설을 통해 플랜트 사업의 수익을 높이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에 생산기지를 짓게 되면 고로 제철소 건설 외에도 철광석 가루를 가공하는 파이넥스 설비와, 고로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부생 가스를 전력 에너지로 바꾸는 발전소 등 다양한 인프라 시설이 함께 수반된다.



따라서 포스코 외에 포스코건설, 포스코파워, 포스코ICT 등 계열사를 포함한 '포스코 패밀리'를 통해 현지에 종합적인 철강 생산 인프라를 건설해주고 그 비용으로 수익성을 초기에 확보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포스코는 또 지분을 적게 갖는 대신 인근의 광산 지분을 획득함으로써 국내 생산에 필요한 철강석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실익을 챙기겠다는 전략이다. 제철소 건설 없이 단순히 해외 광산에 지분을 투자하는 것보다는 이 형태가 더욱 높은 지분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포스코가 해외진출 전략을 바꾸는 이유는 철강이 국가기간산업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어서다. 포스코가 해외에 제철소를 건설해 직접 생산에 나설 경우 저렴한 자원과 노동력을 통해 높은 수익성을 확보하더라도 그 국가의 정서상 '국부의 유출'로 여겨 견제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일례로 포스코는 인도 오리사주, 카르나타카주 등에 일관제철소 건설을 추진하기 위해 수년간 현지 환경단체와 주 정부가 주축이 된 반대 여론과 싸워야 했다. 또 베트남에서는 포스코가 지은 제철소 인근에 일본 철강 기업을 유치, 또 다른 제철소를 짓게 해 고의적으로 경쟁을 유도한 사례도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진출하고자 하는 지역과 동반성장이 가능한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해외 진출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 포스코의 복안이다. 실제로 글로벌 철강 기업 중 제철소 외에 발전소를 비롯한 부가 시설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곳은 포스코가 현재까지 유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제는 포스코의 해외고객이 현지에서 거래를 트고자하는 기업이아니라 그 국가의 대통령(국민적 정서)이라는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해외 생산기지를 건설해 장기적으로 투자비용을 회수하겠다는 생각보다는 건설비용으로 초기에 수익을 내고 대신 광산 지분을 인수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아울러 이러한 방식으로 해외 인력 파견 문제도 일부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동남아, 아프리카 등 저개발국에 주로 진출하다보니 직원들이 오랜 기간 가기를 꺼려한다"며 "그러나 방향을 바꾸게 되면 초기에 기술을 전수할 최소 인력 50여명 정도를 보내면 되고 관리직으로 정년 근처의 직원에게 수퍼바이저 역할로 1~2년만을 근무하도록 하는 혜택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