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신도시 리모델링 빨간불, 가격 영향줄까?

머니투데이 송지유 기자 2011.07.28 17:11
글자크기

정부 '불허' 방침 이미 수차례 예고… 실망매물·가격하락 가능성 크지 않아

정부의 아파트 수직증축 리모델링 불허 결정으로 분당, 평촌 등 수직증축 허용에 큰 기대를 걸어왔던 수도권 1기 신도시의 리모델링 추진이 사실상 어렵게 됐다.

하지만 수직증축 리모델링에 반대하는 정부 방침이 수차례 예고된데다, 시장 침체로 거래가 많지 않은 상황이어서 당장 1기 신도시 아파트값이 하락하는 등 큰 변화는 없을 전망이다.



1기 신도시 리모델링 빨간불, 가격 영향줄까?


2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현재 수도권에서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중인 아파트는 32개 단지, 1만8577가구다. 서울은 강남구와 강동구, 광진구 등에, 경기도는 1기 신도시에 리모델링 단지가 많다. 분당과 평촌은 대다수 단지가 시공사를 선정하고 조합설립인가를 받는 등 리모델링 사업에 적극적이다.

6월말 현재 준공된 지 15년이 지나 리모델링이 가능한 수도권 아파트는 156만5800여가구에 이른다. 이는 전체 아파트 406만6800여가구의 40%에 달한다. 특히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경우 전체 공동주택 255개 단지 14만1798가구 가운데 약 60%인 8만6954가구가 리모델링 허용 요건인 준공 후 15년에 도달했다. 판교신도시를 제외하면 분당구 공동주택의 93%가 해당한다.



이들 단지가 수직증축 리모델링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주택이 낡아 생활이 불편한데 재건축 허용연한을 채우려면 20년 이상 기다려야 해서다. 신도시의 경우 용적률이 250% 정도로 높아 재건축을 추진해 법정상한선인 300% 용적률을 적용받아도 실익이 별로 없는 것도 리모델링에 적극 나서는 이유다.

정부의 이번 결정으로 이들 단지의 리모델링 사업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하지만 정부가 3∼4년간 수직증축 리모델링 반대 입장을 고수해온데다 주택 매매거래가 많지 않아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정부의 입장이 확고했던데다 재건축으로 전환하려면 갈 길이 멀어 당장 실망매물이 쏟아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리모델링 단지는 재건축과 달리 실제 거주하는 집주인들이 많아 시장 충격이 덜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기 평촌의 한 중개업자는 "언론 보도를 통해 이미 수차례 알려진 사안이어서 매물을 내놓겠다는 움직임은 없다"며 "정부가 수직증축을 허용했다면 좋았겠지만 국회 결정 등이 남아 있는 만큼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