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유통기한 폐지, 과연 가능할까요?"

머니투데이 원종태 기자 2011.07.27 14:22
글자크기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식품 유통기한 개선방안이 어떤 방향으로 추진될 지 식품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식품업계는 정부가 김치나 장류, 인삼처럼 유통기한을 따로 정하지 않는 품목을 확대한다면 일단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부에선 유통기한을 없앨 수 있는 품목은 상당히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 26일 열린 물가관계 장관회의에서 현행 식품·화장품의 유통기한 표시제도로 기한을 넘긴 제품들을 폐기해야 해 이 비용이 소비자가격 인상 요인이 되고 있다며 이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식품 유통기한 표시제도 개선방안을 추진할 경우, 대형 식품업계는 연간 수십 억∼수백 억원에 달하는 제품 폐기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정부의 제도 개선 방향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식품업계는 만약 모든 식품군에 대해 전면적으로 유통기한을 폐지할 경우, 상당한 반사이익이 예상된다며 내심 반기는 모습이다. A식품업체 관계자는 "우리 회사의 경우, 유통기한이 지나서 회수 폐기하는 제품 비중은 전체 출고 제품의 2% 수준"이라며 "금액으로는 연간 150억원을 넘어 유통기한을 없앤다면 식품업체 입장에서는 관련 비용 절감 메리트가 크다"고 밝혔다.



B업체 관계자는 "제품별로 6∼12개월 정도 유통기한을 두고 있다"며 "영업사원들이 이 기한이 지났거나 기한에 인접한 제품들을 모두 회수해 폐기하는 비용을 추산하면 우리 회사만 연간 100억원을 넘어 유통기한 폐지로 해당 비용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식품업계는 식품 유통기한 전면 폐지는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무엇보다 유통기한이 국민 건강과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C업체 관계자는 "아이스크림처럼 유통기한이 없는 제품들도 사실상 실질적인 판매유통 기간이 1년을 넘지 않는다"며 "냉동 유통되는 아이스크림도 이런 실정인데 상온에서 유통하는 식품들을 유통기한이 지나서도 유통시키는 것은 국민 정서상 도입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유통기한을 폐지한다고 해도 일부 업체들은 자체 가이드라인을 세워 유통기한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D업체 관계자는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에서 변질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기업 이미지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1년 유통기한은 업체 스스로도 가급적 지키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식품업계는 정부의 유통기한 개선방안이 어떤 제품군까지 포함하느냐와 유통기한을 어느 정도 늘릴 것이냐 등에 관심을 쏟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식품업체들은 유통기한 폐지에 따른 비용 감소분을 정부가 원하는 대로 제품 가격인하로 연결시키는 것에는 난색을 표하고 있어 제도의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