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M&A에 사회·경제적책임 묻는다

더벨 김민열 기자, 현상경 기자, 황은재 기자 2010.11.15 10:29
글자크기

[현대건설 M&A⑧]대우건설보다 배점적을 듯...유재한 사장, 특정후보 지원론 물의?

더벨|이 기사는 11월12일(11:00)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과거 채권단의 기업매각 과정에서 통용됐던 가격-비가격요인 배점표를 감안하더라도 현대건설 (33,800원 ▼300 -0.88%) 매각에는 몇가지 변수가 남아있다. 1)분야별로 몇 점을 각각 배치하느냐 2)단 2개의 후보를 놓고 매각자측이 후보간 점수차이를 얼마만큼 두느냐 3)'사회ㆍ경제적 손실책임'과 같은 제3의 배점이 포함되느냐 등이 이에 해당된다.



사실 배점점수 차이나 후보군별 점수배정 등은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큰 차이점을 두기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국가경제적으로 워낙 중요도가 높은 딜이다보니 현대건설의 매각이 완료된 후 매각의 공정성이나 형평성, 투명성에서 특혜 시비 등이 안나와야 하기 때문. 현대건설만 과거 딜과 다르게 취급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관건은 사회ㆍ경제적 손실책임이다. 2006년 대우건설 매각 때의 경우 처음으로 이 같은 분야가 포함돼 우선협상대상자를 뽑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두산그룹이 금호와 비교할 때 인수가격 면에서나(금호그룹 65점, 두산그룹 64.8점) 큰 차이가 없었고 비가격요인(금호그룹 29.13점, 두산그룹 28.61점)에서도 점수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다. 그러나 두산의 경우 그룹 오너일가가 2005년 외감법상재무제표 허위작성, 공시위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배임과 횡령혐의로 기소된 점을 들어 무려 10점이 감점됐다. 다른 4개 후보는 이 분야에서 감점이 없었거나 0.1점 감점이 부과된데 그쳤다.

현대건설의 경우 아직까지 세부적인 배점표와 채점기준이 확정되지 않았다. 세부적인 기준은 15일 본입찰을 앞둔 직전에 확정되는 한편, 이 내역도 입찰 전에는 후보들에게도 공개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미리 배점표를 확정해봤자 자칫 대외에 공개되고 구설수에 오를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우건설때와 마찬가지로 사회경제적 책임손실 여부가 이번 현대건설 매각 배점표에도 포함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최종적으로 포함이 될지, 또 몇점이나 배정될지, 이를 어떻게 계량평가할지는 미정이지만 이에 따라 비가격요인에서 또 다른 점수차이가 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대우건설때는 감정평가를 '형사소추 시점'을 기준으로 삼아 A~E까지 5등급을 매긴후 감점을 줬다.


이런 가운데 본입찰을 불과 나흘 앞두고 매각주체인 유재한 정책금융공사 사장이 '비가격요소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가뜩이나 현대건설 인수에 대한 당위성 설파나 여론전 등으로 시끄러운 데다 본입찰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확정되지도 않은 내용으로 거꾸로 보도자료까지 냈다는 점이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매각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매각자측이 살얼음판을 걷는 상황임에도 불구, 특히 이 같은 입장의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자칫 일부 후보에게 유리하게 해석될 요지도 없지 않다는 점이 우려사항이 되고 있다.

겉보기에는 유재한 사장의 발표내역은 "그저 가격만 보지 않고 비가격요인도 꼼꼼히 따져 공정하고 투명한 딜이 되도록 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도자료를 통해 꼽힌 비가격요인의 내용은 "지나친 가격경쟁에 따라 인수회사와 피인수회사가 동반 부실되는 소위 '승자의 저주' 문제', "인수후보가 회사를 장기발전 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지 여부, 인수 후에 현대건설의 기업가치를 훼손시키지는 않을 것인지 등 크게 3가지 부분임을 전제하고 이러한 사항을 충분히 고려할 것"이라고 일부내용이 강조돼 있다.

주지하듯이 유 사장이 거론한 '승자의 저주'를 방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인수자의 현금력이 충분한가에 달려있다. 이 점에서는 현대차그룹이 이미 우위를 점한 터라 이를 강조하는 것 자체가 특정후보 편들기로 해석될 요지가 없지 않다.

정책금융공사 관계자들은 "어떤 의도로 해석될 만한 주장은 아니며 그저 가격만 따지지 않고 공정한 매각을 하겠다는 입장에 불과하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이런 내용조차 외환은행을 포함한 주요 매각주체들간에 합의된 내용이 아닌, 그저 정책공사가 "주주협의회에 요청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형태라는 점이 문제다.

문제는 이런 혼선이 야기할 추후의 문제다. 자칫 매각이 끝난 이후 형평성 논란을 제기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