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금통위 아일랜드위기 등 이벤트에 춤출 전망

머니투데이 김한솔 기자 2010.11.14 12:51
글자크기

정부의 규제 강도와 기준금리 인상이 변수

이번 주(11월 15일~19일) 원/달러 환율은 정부가 내놓을 거시건전성 규제의 강도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여부 등에 따라 방향을 결정할 전망이다. 대외 요인으로는 아일랜드에 대한 국제통화기금(IMF) 지원 여부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2일 폐막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G20 국가들은 신흥국들의 핫머니(단기성 투기자금)규제를 제한적으로 허용했다. 이날 발표된 '서울 액션플랜'에는 "적정 수준의 외환보유고를 갖고 있고, 변동환율제 하에서 환율의 고평가가 심화되고 있는 신흥국들은 신중하게 설계된 거시건전성 규제 도입을 통해 대응할 수도 있다"는 문구가 포함됐다. 적정수준의 외환보유액과 변동환율제 시스템 하에서라는 전제조건을 달긴 했지만 사실상 신흥국들의 핫머니 규제를 허용한 셈이다.



외환시장에서는 합의문에 포함된 "보다 시장결정적인 환율제도로 이행하고 환율 유연성을 제고하며, 경쟁적 평가 절하를 자제할 것"이라는 문구보다는 앞으로 나타날 규제의 강도에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외환딜러는 "지금처럼 시장 심리가 취약한 상황에서는 국내 펀더멘털보다는 정부의 자본유출입규제와 아일랜드의 IMF 지원 여부 등 심리적 재료가 시장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는 16일 예정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도 원/달러 환율의 주요 변수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최근의 물가상승압력과 무역수지 흑자규모 등을 고려할 때 이번 달에는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인상폭은 0.25%포인트 정도로 점쳤다.

국내 요인뿐 아니라 우리와 비슷한 경제 여건을 갖고 있는 싱가포르와 호주, 인도, 중국 등이 최근 기준금리를 인상한 바 있고 원자재 물가 상승이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우려 등이 금리 인상에 우호적 여건을 형성했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에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내년 초 까지는 인상이 어려울 전망이다.

아일랜드 파산에 대한 우려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지난 13일에는 도미니크 스트라우스 칸 IMF 총재가 필요하다면 아일랜드에게 자금을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지난 12일(현지시간)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역외환율은 1133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1.60원)를 감안하면 같은 날 서울 외환시장 현물환 종가인 1127.80원보다 3.60원 상승했다. 같은 날 달러/엔 환율은 82.53엔을, 유로/달러는 1.3691달러를 나타냈다.

뉴욕 증시는 하락했다. 이날 미국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대비 90.52포인트(0.80%) 하락한 1만1192.58로 장을 마쳤다.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유럽 재정위기설이 확대된 가운데 중국의 긴축 가능성 부각된 영향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