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리기'에 방점찍은 구조조정 6개월

머니투데이 권화순 기자 2009.07.15 18:17
글자크기
건설사에서 중소기업까지 지난 6개월간 숨 가쁘게 진행돼 온 기업 구조조정이 사실상 일단락됐다. 은행권은 '최선'은 아니었지만 '차선'의 길이었단 평가를 내렸다. 선제적 구조조정을 통해 기업 도산으로 인한 '충격'을 막았다는 얘기다.

시행착오도 없지 않았다. 신용위험 평가 등급 산정 과정에서 일부 업체들의 로비전이 벌어졌고, 등급이 나쁜 건설사가 해외 수주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초기의 우려는 차차 가셨다.



한계도 지적된다. 남은 2차 중소기업의 경우 일괄적으로 평가할 잣대가 없다는 점, 우량 기업들의 추가 부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 등이 과제로 꼽힌다.

◇'살리기' 구조조정=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은행들은 여신 규모가 50억~500억원에 달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를 마무리 지었다. 전체의 13.1%가 C등급(기업개선작업 대상)과 D등급(퇴출 대상)으로 분류돼 구조조정 절차를 밟게 된다.



이보다 여신 규모가 작은 업체에 대한 평가도 남았지만 사실상 기업 구조정이 일단락 됐다는 게 은행권의 시각이다. 은행권은 지난 1월 건설·조선사를 시작으로 해운업체, 대기업그룹, 대기업, 중소기업을 놓고 6개월 간 구조조정 작업을 벌였다.

은행권은 대체적으로 '한계'가 없었던 건 아니지만 경기 상황에 적합한 선제적인 대응이었다는 평가를 보였다.

A은행 관계자는 "외환위기 때처럼 업체들이 당장 쓰러져 나갈 정도로 아주 기울어진 상황은 아니었다"면서 "그러다 보니 정부 주도가 아닌 채권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구조조정을 맡았고, 이는 상황에 적합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B은행 관계자도 "일정 비율 이상의 업체를 퇴출시킨다는 차원의 구조조정이라기 보단 '살리기'에 초점이 맞춰졌다"면서 "위기에 대비하는 선제적인 구조조정 성격이 짙다"고 평가했다.

◇"상시구조조정으로"=업체별로 건설사 구조조정의 경우 C나 D등급 판정을 받은 후 일시적으로 수주가 끊기는 등 시행착오가 없지 않았다. 이러다 보니 좋은 등급을 받으려는 업체들의 로비전도 치열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그러나 "미분양 물량이 쏟아져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겪은 건설사들이 채무유예, 이자감면 등을 통해 위기를 극복했고, 줄도산으로 인한 경제 충격도 막을 수 있었다"고 봤다.

이 중 D등급 판정을 받고도 퇴출되지 않은 업체도 있었다. 자구책 없이 유동성 공급을 받아 살아남은 업체의 경우 자칫 도덕적인 해이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대기업 구조조정 관련해선, C은행 관계자는 "처음엔 대기업들이 버티기에 나서면서 갈등이 빚어졌지만 결과적으로 자금운용의 효율성, 조직의 슬림화, 금융위기에 대응하는 토대가 만들어졌다"고 평가했다.



향후 중소기업 구조조정에 대해선 "대상이 워낙 방대하다보니 일괄적인 평가 잣대가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구조조정을 하기보단 경기 상황을 감안해 은행들이 상시적으로 구조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