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지방은행 전환, 할까 말까"

머니투데이 오수현 기자 2009.07.13 07:08
글자크기

대형저축銀, 업무영역 확대 노리고 전환 검토 중

금융당국이 대형 저축은행의 지방은행 전환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저축은행업계는 이에 따른 득실을 저울질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대형사, 업무영역 확대에 주목= 12일 업계에 따르면 일부 대형저축은행들은 지방은행으로 전환할 경우 업무영역이 일반은행에서 취급하는 신탁·외환·신용카드 등까지 대폭 확대된다는 점에 주목, 지방은행 전환을 신중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저축은행의 업무 영역은 예·적금 수신과 각종 신용·담보 대출 등으로 제한돼 있다. 제한된 업무로 수익성에 한계를 느낀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유가증권 투자에 뛰어들었으나, 경기침체와 맞물려 큰 손실을 입고 정부의 지원까지 받아 또다시 영업 외 투자에 나서기 힘든 상황이다.

한 대형저축은행 경영기획실 관계자는 "예대마진으로 인한 수익창출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다양한 금융업무를 취급할 수 있는 지방은행으로의 전환에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자산규모 5조원이 넘는 대형 저축은행들이 속속 탄생하고 있는 점도 지방은행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다. 지난해 12월말 현재 대형사들의 자산규모는 △한국(한국·진흥·경기·영남) 7조3357억원 △부산(부산·부산2·중앙부산·대전·고려) 7조1730억원 △솔로몬(솔로몬·부산솔로몬·호남솔로몬·경기솔로몬) 5조9946억원 △현대스위스(현대스위스·현대스위스Ⅱ·현대스위스Ⅲ) 4조2034억원 등이다. 이는 전북은행(6조8500억원)이나 제주은행(2조7700억원) 등 웬만한 지방은행의 자산규모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또 다른 대형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사들의 자산규모는 빠르게 성장했지만 취급업무는 자산규모 수천억원에 불과한 소규모 저축은행과 차이가 없는 탓에 여러 한계를 느껴왔다"면서 "커진 덩치에 걸맞게 수익처의 다변화를 꾀해야 하나 저축은행 업무 영역이 제한돼 있어 지방은행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 수준의 자산건전성 요건 충족해야=금융당국도 일단 대형저축은행들의 지방은행 전환에 전향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김광수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 국장은 최근 국회 금융정책위원회가 주최한 서민금융 정책 세미나에 참석한 자리에서 "대형 저축은행 중 원한다면 지방은행으로 전환해야 한다"라며 "다만 은행 수준의 자산건전성 요건을 충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종 건전성 지표나 자본금 요건 등을 충족하고, 은행 전환으로 의지만 있다면 허가를 내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저축銀, "지방은행 전환, 할까 말까"


지방은행으로 전환을 원하는 저축은행들은 최저자본금, 최대주주 지분율, 대손충당금,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등을 은행 수준으로 강화해야 한다. 연체 채권 기준도 기존 한달 이상에서 하루 이상으로 대폭 강화된다. 게다가 금융당국에선 은행으로 전환을 원하는 저축은행에 이와 별도의 강도 높은 자산건전성 기준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현재 대형저축은행 사주들의 지분율은 은행 최대주주 지분율 상한선인 15%와 큰 차이가 없어 지분율 규정은 큰 문제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악화로 연체채권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은행 수준의 건전성 관리 기준은 분명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따라서 부실자산 정리를 마무리 짓고 경기회복 시점을 노려 지방은행으로 전환을 노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