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폴] 07년4Q 및 2008년 성장률, 전문가별 전망

머니투데이 황은재 기자 2007.10.24 13:40
글자크기
김종수 NH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

-4분기 GDP 전기비 1.5%
-4분기 GDP 전년동기비 5.8%
-2008년 GDP 전년비 4.6%

4분기에도 수출 호조 및 지속적인 내수 경기 회복으로 성장 확대가 지속될 것이지만, 국제유가의 고공행진 및 인플레이션 우려, 높아진 금리 스프레드 및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중국의 긴축기조 강화, 세계 경제의 성장 모멘텀 약화 및 수출 둔화 등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내년에 더욱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라 내년 GDP는 4.6%로 올해 5.0%보다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김재은 SK증권 이코노미스트

-4분기 GDP 전기비 1.1%
-4분기 GDP 전년동기비 5.2%
-2008년 GDP 전년비 5.2%



3분기의 양호한 성장세를 4분기에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과 내수 회복이 고르게 이어지면서 내년 상반기까지도 호조세 지속. 미 경기의 흐름이 다소 불안하고 유로, 일본 등 선진국 경기 역시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과 인도 등의 고성장세가 이어지면서 국내 경기의 변동성을 완화시켜줄 전망이다. 환율변수의 흐름과 유가에 따라 시장 방향이 크게 달라질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임지원 JP모간 이코노미스트

-4분기 GDP 전기비 0.7%
-4분기 GDP 전년동기비 4.9%
-2008년 GDP 전년비 4.9%


4분기는 3분기에 비해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나 유럽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로 실물경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시기이다. 유가 상승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내년도는 전기비로 보면 잠재성장률인 4.9% 근처에 안착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 경제를 위협하는 요인들이 많이 있다. 대외적으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가 아직 관건이고 유가, 중국의 긴축 등이 있다. 대내적으로는 대선 정국 이후 위험, 원화 약세 여부 등이 있다. 2008년은 세계경기가 2002년 이후 보였던 회복사이클, 본격적인 확장기를 끝내는 시기가 될 수 있다.

김승현 우리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

-4분기 GDP 전기비 1.3%
-4분기 GDP 전년동기비 5.2%
-2008년 GDP 전년비 5.1%

소비증가 추세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시작돼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8년에도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기업설비투자도 GDP 보다 빠른 증가를 예상한다. 수출은 올해보다 증가율이 더 높아지지는 않을 것이지만 견조한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건설투자들은 위축 가능성이 있다. 내년도 성장률 전제 5.1%는 미국 경제 성장률이 2% 이상에서 연착륙하고 국제유가도 70달러대로 떨어질 것이란 가정이 있다. 국제유가가 평균 80달러 이상에서는 성장률 하락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 경제가 1%대 성장률이면 우리나라는 4.8%성장이 예상된다.

마주옥 키움증권 이코노미스트

-4분기 GDP 전기비 1.1%
-4분기 GDP 전년동기비 5.2%
-2008년 GDP 전년비 5.0%

4분기의 전분기 성장률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 및 중국의 경기둔화가 우리나라 수출과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런 추세는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오석태 씨티은행 이코노미스트

-4분기 GDP 전기비 1.2%
-4분기 GDP 전년동기비 5.4%
-2008년 GDP 전년비 5.2%

소비는 4분기에도 좋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향후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 경제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달려 있다.

이성권 굿모닝신한증권 이코노미스트

-4분기 GDP 전기비 1.9%
-4분기 GDP 전년동기비 5.2%
-2008년 GDP 전년비 5.1%

우리경제는 내년까지 민간소비, 수출이 주축을 이루는 가운데 건설투자가 다소 회복세를 보이면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는 소득 및 고용, 심리지표의 개선과 주식시장의 장기 상승세를 바탕으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출은 환율 여건은 다소 불리하나 주력 산업(철강, 선박, 반도체)의 수출 강세 지속, 적극적인 수출지역 다변화, 업계의 환율 대응 능력 강화 등을 통해 강세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투자는 신정부 출범후 경기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출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올해 보다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