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우리집 신용도' 조사

머니투데이 서명훈 기자 2007.09.28 08:51
글자크기

가계신용지표 연말 첫선… 신용상태·부채상환 능력 한눈에 파악

이르면 올 연말께 가계의 신용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가계신용지표'가 첫 선을 보인다. 가계신용지표에는 소득계층별 가계의 총부채 규모와 금융자산 현황, 소득 등 가계채무상환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내용이 총망라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27일 "가계의 신용상태를 파악하는 수단으로 주로 연체율이 이용되지만 사후지표라는 한계가 있다"며 "가계의 부채규모와 금융자산, 소득 등을 직접 조사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우선 9월부터 10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착수, 올 연말까지 분석결과를 내놓을 계획이다. 가계의 신용상태를 보여주는 지표가 공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년부터는 설문 표본수를 4000~5000가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관계자는 "이번 지표는 가계의 부채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며 "소득계층별로 이를 세분화하고 상환능력이 취약한 중하위 계층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지표가 개발되면 금융회사들은 연체율이 상승하기 이전에 가계대출 규모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가계신용지표가 악화됐다면 금융회사들은 가계대출 심사를 강화하거나 대출 규모를 미리 축소할 수 있게 된다. 금융감독당국은 이를 바탕으로 금융회사들이 대손충당금을 더 쌓도록 유도하게 된다.

하지만 금감원은 가계신용지표가 자칫 가계 유동성을 악화시킬 수 있는 만큼 지도·감독을 보다 철저히 할 방침이다. 가계신용지표가 악화된 상황에서 금융회사들이 일제히 여신 회수에 나서면 상황을 더 나쁘게 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또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계신용지표가 떨어졌다고 해서 저소득층의 대출을 무분별하게 회수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라며 "상환능력에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중하위 계층에 대해 중점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금감원은 가계신용지표 개발을 위해 통계청과 업무제휴를 체결했으며, 설문조사 과정에서도 통계청과 긴밀하게 협조하기로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