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시점 못 박았다"..24년 걸린 우리금융 민영화

머니투데이 권화순 기자 2019.06.25 11:36
글자크기

1998년 첫 공적자금 투입..2022년까지 정부지분 0%로 완전매각..."조속 매각에 초점"

"매각시점 못 박았다"..24년 걸린 우리금융 민영화


“금융위기가 다시 오지 않는 한 계획대로 판다.” 정부는 ‘금융위기’ 수준의 위기가 닥치지 않는다면 2022년까지 꼭 팔겠다고 시점을 아예 못 박았다. 이대로라면 1988년 공적자금이 첫 투입된 이후 정부 지분은 1%도 남겨 놓지 않게 된다. 24년 만에 우리금융 민영화에 마침표가 찍히는 것이다.

과거와 특히 다른 점은 시장 상황이 안 좋아 주가가 하락하거나 정권이 바뀌면 ‘오락가락’했던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확실히 팔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정부가 우리금융 지분을 보유하게 된 계기는 1998년 옛 한빛은행에 공적자금을 투입하면서부터다. 그 동안 우리금융 민영화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정부는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을 옛 한빛은행으로 합친 뒤 이 은행과 광주은행, 경남은행 등 5개 금융회사 주식을 우리금융으로 이전했다. 2001년 추가로 우리금융 지분을 사들인 정부는 2001년부터 우리금융을 소유했다. 정부는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금융지주 주식에 대한 공모와 4차례의 블록세일을 통해 지분율을 100%에서 58.68%로 낮췄다.

이후 경영권 매각을 4차례 추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와 정책적인 판단이 곁들여지면서 민영화는 ‘산’으로 갔다. 즉 우리은행 민영화는 2010년, 2011년, 2012년에는 정부 보유 지분을 한꺼번에 파는 일괄매각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분 30% 이상을 한꺼번에 팔면서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붙이자 마땅한 투자자를 구하기 어려웠다. 2014년 4차 매각에선 일괄매각 방식을 고수하지 않기로 했다. 매각 성공을 위해 경영권지분과 소수지분으로 나눠 파는 분할매각으로 선회했다.



하지만 경영권지분 인수전에서 교보생명이 중도 하차하면서 중국 안방보험만 참여했다. 역시 유효경쟁 미달 사태가 벌어져 소수지분만 팔렸다.
"매각시점 못 박았다"..24년 걸린 우리금융 민영화
정부는 2016년 5번째 매각에서는 지분을 4~8%로 쪼개 파는 과점주주 방식으로 매각 방식을 선회해 결과적으로 매각에 성공한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금융은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18.32%를 갖고 과점주주가 총 25.9% 지분을 보유하는 체제가 됐다. 과점주주 지분을 보면 IMM 5.96%, 키움·한투·동양 3.98%, 한화 3.90%, 미래에셋 3.66%, 유진 0.52% 등이다.

과점주주의 지분이 예보보다 많고 과점주주가 추천한 사외이사가 이사회에 참여해 의결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우리금융은 사실상 민간으로 넘어간 셈이다. 하지만 예보 지분 18.32%로 인해 여전히 ‘공적자금이 투입된 회사’라는 한계점도 있는 게 사실이었다.


정부는 이전에 특정 매각 방식을 추진한다는 내용만 발표해 매각이 불발되면 후속대책을 마련하는데도 상당기간이 걸렸지만 이번에는 2022년까지 시기, 방법, 물량 등에 관한 로드맵을 내놓았고 희망수량경쟁입찰 후 잔여 물량이 나오면 블록세일로 팔겠다는 대안도 준비했다.

이세훈 금융위원회 구조개선 정책관은 “금융위기 수준의 시장변동이 주가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잔여지분의 조속한 매각에 초점을 맞추고 완전 민영화가 지체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