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 우려에도 '우리은행 주인찾기' 포기못한 이유

머니투데이 김진형 기자, 박종진 기자 | 2014.06.23 16:38

공자위, 경영권매각·분산매각 병행 확정…경영권 매각 강행의 3가지 이유

정부는 과거 3차례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 카드를 다시 꺼내 들었다. 정부 지분 56.97% 중 26.97%를 분산매각키로 했지만 경영권이 달린 지분 30% 통매각이 실패하면 우리은행은 그대로 정부 소유로 남게 된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직까지 걸고 성공시키겠다'고 했던 우리금융 민영화가 '미완의 과제'로 남을 수도 있지만 정부는 이 방식을 23일 최종 선택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우리은행 매각을 경영권지분과 소수지분 매각으로 분리해 동시 진행키로 확정했다.

◇분산매각과 경영권 매각 병행= 경영권 행사가 가능한 지분 30%에 대해 일반경쟁입찰을, 재무적 투자자 대상의 지분 26.97%에 대해서는 희망수량경쟁입찰 방식을 적용한다. 9월 매각공고를 내고 연내 최종입찰 대상자를 가려 내년 상반기 중 우리은행의 새 주인을 선정하겠다는 계획이다.

먼저 안정적 경영권 행사가 가능한 30% 지분을 통째로 사겠다는 인수 희망자만 대상으로 일반경쟁입찰을 실시한다. 현재 인수의지를 밝히고 있는 교보생명 이외에 최소 1곳 이상의 입찰자가 더 나와야 유효경쟁이 성립(매각성사)한다. 매각절차는 일반적인 인수합병(M&A) 절차를 따른다.

나머지 26.97% 지분은 투자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실시한다. 높은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 순으로 각자 희망하는 물량을 배분하는 방식이다. 개별 입찰가능 규모는 최소 0.5%에서 최대 10%로 정했다.

매각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수지분 인수자에게 콜옵션(향후 일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을 준 것도 이번 매각의 특징이다. 낙찰 받는 1주당 0.5주의 콜옵션을 부여함으로써 인수자는 2주를 사면 1주를 나중에 싸게 살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경영권 매각' 시도로 얻는 것들= 하지만 현재 여건이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에 우호적이지 않다. 유효경쟁이 성립해야 하지만 교보생명 외엔 후보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경영권 매각을 재시도로 정부가 얻을 수 있는 것도 있다.

우선 경영권 매각을 배제했을 때 닥칠 후폭풍 방지다. 경영권 매각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는 만큼 공적자금 회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현재로선 실패 가능성이 높다고 시도조차 안할 경우 향후 책임 문제가 따를 수 있다. 정부로선 부담이 크다. 교보생명 외에 다른 투자자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우리은행 30% 가격은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감안해 3조원 정도다. 금융권 관계자는 "3조원에 시중은행 경영권을 살 수 있다면 매력적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경영권 매각을 병행함으로써 소수 지분 입찰의 흥행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다. 금융권은 최근 은행업 업황이 바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소수 지분 매각 흥행도 자신하기 어렵다고 분석하고 있다. 정부가 굳이 매각 공고에 앞서 2개월간 국내외 기업설명회(IR)에 나서는 이유도 그만큼 투자 수요가 풍부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새로운 주인이 생긴다는 전제가 있다면 투자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주인없는 은행과 주인있는 은행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치는 다르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소수지분만 매각하고 경영권 매각에 실패하더라도 정부 지분은 30%만 남기 때문에 향후 재시도가 쉬워진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우리금융을 해체하고 우리은행으로 전환되는 만큼 은행업 업황만 개선되면 다양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번개탄 검색"…'선우은숙과 이혼' 유영재, 정신병원 긴급 입원
  2. 2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3. 3 법원장을 변호사로…조형기, 사체유기에도 '집행유예 감형' 비결
  4. 4 "통장 사진 보내라 해서 보냈는데" 첫출근 전에 잘린 직원…왜?
  5. 5 '개저씨' 취급 방시혁 덕에... 민희진 최소 700억 돈방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