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공매도 폭격에 증시 초토화 '악순환'

머니투데이 신희은 기자 | 2011.08.25 06:01

[심층진단-한국 증시 개조 프로젝트 'WHY&HOW' ③공매도]

-폭락 전 대차급증...대차 → 공매도 → 주가 급락 → 로스컷
-외국인 '셀 코리아', 공매도로 사전 정지작업
-"사후 약방문보다 근본적 시각변화 필요성" 대두


'공매도'는 주가폭락을 알리는 '저승사자'다.
고지 점령을 위한 공격에 앞서 파상적인 공중폭격이 이뤄지듯, 증시 폭락 직전에는 외국인들의 공매도 공세가 퍼부어진다. 이번 한국증시의 폭락도 예외가 아니었다.

미국 경제의 더블딥 우려가 본격화된 지난 2일(이후 한국시간) 이후 코스피 지수는 2100선 초반에서 1700선까지 추풍낙엽이 됐다.
한국 증시에서 돈을 빼가기 위해 '셀 코리아'에 나선 외국인들은, 매도에 앞서 공매도를 통해 '퇴로'를 확보했다.

◇ 외국인 '셀 코리아', 공매도로 사전 정지작업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시가 3% 이상 폭락하기 이틀 전인 지난 3~5일 대차결제량이 각각 열흘 전보다 100만주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차체결량이 집계된 지난 2002년 9월 이후 체결량 증가 평균값 6만5000주를 15배 이상 웃도는 수치다.

올들어 한국 주식을 사들이며 상승장을 주도해 온 외국인들이 미국 디폴트 우려에 직면하자 공매도를 통해 미리 주식을 팔아 놓고 현물 주식 매도에 나선 것이다.

한국증시에서 이뤄지는 공매도의 60~90%는 헤지펀드 등 공격적인 외국인 기관투자자들에 의해 이뤄진다. 국내 기관, 연기금과 운용사들은 직접 공격적인 공매도에 나서기보다는 보유 주식을 빌려주고 수수료 수익을 얻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대상 대신증권 연구원은 "외국인들이 주식을 매도할 때 아무런 헤지없이 매도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락장에서 이익이 발생하는 포지션을 사전에 확보해 놓았을 것"이라며 "공매도가 그 중 하나의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주식을 매도해 현금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공매도 포지션을 통해 이익을 취하는 '일석이조'의 투자전략이다.


이 연구원은 2002년 9월 이후부터 현재까지 코스피 증시 폭락 전날 대차체결량 증가 평균값은 120만1000주로 평균 체결량 증가폭(6만5000주)를 크게 웃돈다고 지적했다. 수급을 움켜쥔 외국인의 공매도에 국내증시가 크게 휘둘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차 → 공매도 → 주가 급락 → 로스컷 악순환......OCI 삼성전기 등 '줄급락'

동양종금증권이 코스피 지수가 251포인트 하락한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5일간 자사 분석대상 200종목의 대차잔고는 3조8000억원이 늘어났다. 연간 누적 기준으로는 15조1000억원으로 7월 이후에만 5조9000억원이 늘었다.

같은 기간 공매도 물량은 1조6000억원 어치가 쏟아졌다. 공매도를 재허용한 지난 2009년 6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기간 외국인이 2조1000억원 가량의 순매도를 보인 것을 감안하면 외국인 매도의 상당 부분이 공매도를 통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9일 하루동안 외국인이 이들 종목에 대해 1조2000억원어치를 순매도했고, 공매도는 3923억원에 달했다.

올들어 월 평균 1~2%대에 머물던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은 5일간 코스피 지수가 큰 폭으로 급락할 당시 전체 거래대금의 4~5%대까지 급격히 확대됐다. 시장 전체 거래대금의 4~5%가 일부 종목들에 대해 단기간에 쏟아질 경우 해당종목의 주가급락은 물론, 이로 인한 증시 투자심리 급랭→ 주가 급락에 따른 기관들의 로스컷 → 낙폭 확대의 악순환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
이 기간 대차잔고 증가가 두드러졌던 OCI의 경우 주가가 5일만에 26% 급락했고 현대상선, 삼성전기도 각각 15%, 16% 이상 떨어졌다.

미국, 유럽발(發) 위기로 가뜩이나 취약해진 증권시장에서 단기간 급증한 공매도는 증시 추가하락을 부추겨 신용거래 융자, 미수 등을 동원해 주식투자에 나섰거나 주식 장기보유가 여의치 않은 개인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실을 안겼다.

지난 2008년 리먼 브러더스 파산으로 글로벌 증시가 폭락하자 각국이 공매도를 금지한 데 이어 이달 10일에도 금융위원회가 공매도를 3개월간 금지토록 한 것도 공매도가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다.

국내뿐 아니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정부 등이 잇달아 공매도 금지에 가세하면서 과도한 변동성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공매도 금지조치가 증시 폭락 이후 '사후 약방문'에 그치면서 보다 정책의 근본적인 시각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선우은숙 이혼' 유영재, 노사연 허리 감싸더니…'나쁜 손' 재조명
  2. 2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성폭행 직전까지"…증거도 제출
  3. 3 장윤정♥도경완, 3년 만 70억 차익…'나인원한남' 120억에 팔아
  4. 4 갑자기 '쾅', 피 냄새 진동…"대리기사가 로드킬"
  5. 5 '돌싱'이라던 남편의 거짓말…출산 앞두고 '상간 소송'당한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