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돈 받는 관영언론, 가장 공정? "알권리 테러"

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 2010.12.31 14:50

국민 혈세 받아쓰는 '연합뉴스TV' 보도방송도 차지, "정부로부터 자유로운가" 비난

방송통신위원회가 보도전문 방송채널 사업자를 선정하면서 연합뉴스TV의 공정성을 가장 높게 평가해 논란을 빚고 있다.

특히 비계량 영역인 '공적 책임·공정성·공익성' 부분의 배점이 사실상 당락을 가른 것으로 나타나 관영통신사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30일 방송통신위원회가 공개한 승인 신청법인별 심사위원회 평가점수에 따르면 보도채널의 경우 연합뉴스TV가 '공적 책임·공정성·공익성의 실현 가능성' 부문에서 240.44점을 얻어 다른 신청법인들을 8~15점 가량을 앞질렀다.

보도채널은 뉴스를 전문적으로 전하는 채널의 특성상 이 분야의 배점이 가장 높아 300점(1000점 만점)이 만점이다. 종합 평균 점수가 80점(100점 만점) 이상이 '합격'임을 고려할 때 240점 이상을 받으면 전체 점수에서 마이너스로 작용하지 않는 셈이다. 연합뉴스TV는 '자로 잰 듯' 240.44점을 기록했다.

반면 2위로 탈락한 머니투데이 보도채널의 경우 이 분야에서 232.13점에 그쳐 '경영계획의 적정성', '방송발전을 위한 지원계획' 등 다른 부분의 점수가 우수함에도 0.16점(100점 만점) 차이로 떨어졌다.


평가결과가 공개되자 정부 돈을 받는 연합뉴스가 추진하는 보도채널이 과연 공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연합뉴스는 '뉴스통신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300억원 이상의 국민 혈세를 받아쓴다. 정부가 입맛에 맞는 보도채널만을 선택했다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다.

언론계에서 연합뉴스의 정부 비판 보도가 사라졌다는 점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지난 7월 집권여당이 미디어법을 강행 처리할 때도 '뚝심으로 미디어법 처리한 안상수' 등의 기사로 비판보다는 옹호를 택했다.

과천 정부종합 청사를 출입하는 한 중앙 언론사 기자는 "(연합뉴스에서) 예산 편성권을 쥔 경제부처에 대한 비판 기사가 사라진지 오래"라고 전했다.

한 언론계 전문가는 "정부 영향 아래 있는 뉴스통신사에 보도채널 사업권을 주는 것은 결국 국민들의 다양한 정보 욕구를 차단하는 것"이라며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할 국민의 알권리에 대한 일종의 '테러'"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
  5. 5 '수상한 안산 주점' 급습하니 PC 14대…우즈벡 여성 주인 정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