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채무 사상최고 "경제 허리층, 부러질판"

머니투데이 오수현 기자 | 2010.03.31 08:03

중간 4~6등급 과다채무 비율 51% 달해 "부실화 우려"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개인고객 중 과다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최고치를 기록해 금융권에 비상이 걸렸다. 과다채무자는 '미상환 대출을 3건 이상 보유한 차주'로 상환능력 이상의 채무 부담을 지고 있는 개인이다. 이들 과다채무자의 대출 채권은 경기 상황에 따라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아 은행 저축은행 등의 부실채권이 늘어날 우려도 커지고 있다.

30일 개인신용평가회사(CB)인 한국신용정보(한신정)에 따르면 국내 금융기관(은행, 카드, 캐피탈, 보험, 저축은행)의 전체 개인 여신에서 과다채무자에 대한 여신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말 현재 28.10%로 집계됐다.

이는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심했던 2008년말에 기록했던 사상최고치(27.77%)를 1년만에 경신한 것이다. 과다채무 비중은 2009년 들어 금융시장이 안정을 찾으며 하락세로 돌아서 작년 6월에 27.12%로 떨어졌다가 6개월 새 0.98%포인트 급등했다.

한신정 한민희 연구원은 "이 같은 비중은 전체 개인 대출 고객 중 과다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15.74%)의 2배에 이르는 수치"라며 "이는 과다채무자의 1인당 대출금액이 매우 많다는 의미로 과다채무자의 대출이 부실화될 경우 그 피해는 상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이 같은 과다채무자가 개인신용등급 4~6등급의 중위등급에 집중돼 있다는 사실이 더욱 우려스럽다. 이는 국내 경제활동인구의 허리 층에 해당하는 개인들 가운데 과다채무자가 많다는 뜻으로, 이들의 채권이 부실화 될 경우 금융권이 받은 충격은 적잖을 것이기 때문이다. 신용등급 4~6등급 개인 중 과다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51.68%로, 1~3등급(20.45%)과 7~10등급(27.86%)에 비해 훨씬 높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위등급에서 부도율이 높아지면 금융기관의 대응이 용이하나 중위등급으로 확장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아울러 과다 채무자의 경우 대출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연체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은 만큼 금융권에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과다 채무자 중 6개월 내 신규 대출을 위한 신용조회를 실시한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42.65%로 비과다 채무자(22.95%)에 비해 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연체 경험 비율도 31.68%로, 비과다 채무자의 1.5배에 이르렀다.

이 때문에 과다 채무 고객이 과다 채무를 해소한 이후 다시 과다 채무자로 복귀하는 경우도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다채무를 해소한 이후 6개월 뒤 다시 과다 채무로 회귀하는 비율은 22.0%, 12개월 뒤엔 28.62%, 18개월 뒤엔 34.57%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민희 연구원은 "과다채무자의 경우 지속적인 신용(대출)을 필요로 하고 연체비율이 높기 때문에 외부상황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며 "과다 채무의 문제는 일시에 해결될 수 없고 구조적인 문제라는 측면에서 향후 국가 경제에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