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플랜트' 만드는 건 외국인들?

머니투데이 송충현 기자 | 2010.02.17 09:26

[호황속 플랜트업계, '사람'이 없다(중)]기능직부터 전문가까지 외국인력 의존 늘어

"해외건설 인력 1만명을 양성하면 200억달러의 외화를 벌어들일 수 있고 순이익도 42%에 달합니다. 하지만 해당 기업이 인력을 양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국가적 차원의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절실한 이유입니다."

정연주 전 삼성엔지니어링 사장(현 삼성물산 건설부문 사장)이 지난해 9월 있었던 '해외건설 상생발전 결의'에서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에게 건의한 말이다. '해외건설 인력 10만 양병설'로 불릴 만한 이같은 업계의 건의가 나오는 이유가 뭘까.

플랜트업계는 경기 불황 속에서도 다른 산업 및 제조업에 비해 많은 신입·경력직원을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늘어나는 현장을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인력이 부족하다. 결국 건설업계는 임금이 싸고 영어도 가능하면서 고급엔지니어인 인도, 필리핀 등의 외국인력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돱관리직이 아닌 기능직은 제3국 인력들로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다돲고 말했다. 1~2년 정도의 교육으로 현장투입이 가능한 인력을 꾸릴 수 없다면 차라리 '준비된' 해외인력을 선호하겠단 것이다.

문제는 해외인력 활용만으로 앞으로 해외 플랜트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점이다. 시장 규모가 급팽창한 상황에서 충분한 인력 풀(Pool)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해외 플랜트 수주 시장에서 약점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인력 부족으로 공기가 지연돼 지체상금을 물거나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면 대외신뢰도가 하락해 해외 수주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서다. 한국플랜트학회 이재헌 회장은 "앞으로 20년간 플랜트시장이 호황기를 구가할 것으로 보여 국내 플랜트 전문가를 대거 육성하는 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정부와 학계는 준비된 국내 플랜트 인재를 키우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확충하는 등 나름의 대응을 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각 대학에 원자력·가스·환경 플랜트학부를 확대하고 해외건설협회 등을 통해 플랜트 교육을 활성화시켜 산학협동체계를 구축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는 것.

하지만 건설사들은 냉담하다. 교육과정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 실효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플랜트의 경우 전기·화학·기계공학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에서 단일 플랜트학과 신설은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교육도 단기 속성과정이어서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인력을 기대하기는 무리라는 설명이다.

실제 '글로벌 청년리더사업'의 경우 해외플랜트 교육은 대학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2개월 교육과정과 전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1개월 강좌가 유일하다. 그마저도 교육 내용이 플랜트 소개 정도에 머물고 있고 건설사와 협조체계도 떨어져 강좌를 수료해도 입사 시 가산점 등의 혜택은 없다. 해건협이 수료자를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에 추천하는 정도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돱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과 학교·정부가 지원하는 인재가 다르다돲며 돱플랜트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한 채 교육 시스템을 구성한 결과돲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학계는 교육과정상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플랜트 기술인력 양성센터를 담당하고 있는 숭실대 정찬수 교수는 "플랜트 교육 강좌를 개설해도 수강을 신청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며 "수강 신청자가 15명 정도만 돼도 건설사가 원하는 강좌를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성폭행 직전까지"…증거도 제출
  2. 2 장윤정♥도경완, 3년 만 70억 차익…'나인원한남' 120억에 팔아
  3. 3 차 빼달라는 여성 폭행한 보디빌더…탄원서 75장 내며 "한 번만 기회를"
  4. 4 "390만 가구, 평균 109만원 줍니다"…자녀장려금 신청하세요
  5. 5 갑자기 '쾅', 피 냄새 진동…"대리기사가 로드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