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만에 레미콘 파업하나, 시멘트·건설 또 셧다운 위기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2024.06.19 16:43
글자크기
레미콘 운송사업자 집단행동 사례/그래픽=김다나레미콘 운송사업자 집단행동 사례/그래픽=김다나


지역 레미콘 믹서트럭 운전자들이 레미콘 운송비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 수순에 들어갔다. 전국 물량의 절반 가량을 소화하는 수도권에도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다. 레미콘 운송노조가 운송 거부를 하게 되면 전후방 산업인 시멘트와 건설산업 전체가 영향을 받게 된다.

19일 레미콘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운송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는 레미콘 제조사에 운송비 인상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전달했다. 당초 17일 파업을 예고했다가 나주지역의 불참으로 미뤄졌다가 참여로 방향을 선회하자 24일부터 파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협상이 여의찮아 파업 가능성이 높다는게 업계의 판단이다.



레미콘 운송비 협상은 권역별로 이뤄지는데 광주·전남 노조는 1회당 6만3000원의 운송비를 최소 1만원 이상 인상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반면 제조사는 6000원을 인상액의 마지노선으로 본다. 건설경기 침체로 수익성이 악화한 상황에서 레미콘 운송비를 요구만큼 올려주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운송 거부가 전체 레미콘 수요의 절반 가까이 몰려있는 수도권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업계에선 다음달 1일 수도권 노조의 파업 가능성이 거론된다. 수도권은 레미콘 공장 비율이 20% 정도임에도 매출은 40~45%를 차지하는 지역이다. 레미콘 믹서트럭 수도 40%가 넘는다.



수도권은 2년전 3일간의 대규모 파업 당시 2년간 24.5% 인상안에 합의한 후 올해 다시 합의해야 시점이다. 현재 협상일정도 잡지 못했다. 당시 158개 레미콘 공장의 가동이 중단됐고 제조사 추산 하루 300억원의 피해액이 발생했다.

관건은 레미콘 운송노조의 파업이 불법파업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고용노동부 산하 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는 레미콘운송노조를 노조로 인정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 노동조합법상 보호를 받을 수 없어 집단 운송거부 같은 단체행동의 명분이 없다는게 제조사의 판단이다.

파업이 수도권으로 확산하면 전후방 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수요처를 잃은 시멘트산업은 물론 건설 공사지연으로 공사비가 늘어나게 된다. 높은 운송비가 책정되더라도 부담은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건설경기가 침체돼 있다는 것이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최근 5년간 레미콘 가격은 33.8% 인상된 반면 운송비는 56% 상승했다"며 "레미콘 운송사업자들은 8·5제(주 40시간 운반제)와 토요휴무제로 줄어든 이익을 운송단가 인상으로 지키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서울시내 레미콘 공장에 믹스트럭이 주차되어 있다. 2023.06.05. jhope@newsis.com /사진=정병혁[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서울시내 레미콘 공장에 믹스트럭이 주차되어 있다. 2023.06.05. [email protected] /사진=정병혁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