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기업대출 확대…연체율 상승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머니투데이 이병권 기자 2024.04.29 16:26
글자크기
주요 은행 연체율 변화/그래픽=조수아주요 은행 연체율 변화/그래픽=조수아


은행권의 기업대출 확대 기조가 연체율 상승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고금리 등의 여파에 기업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가운데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2배 이상 뛰었다. 일각에선 국내 기업부채가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1분기 말 연체율 단순평균은 0.32%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0.27%)와 전 분기(0.29%) 소폭 올랐다. 세부적으로는 가계보다 기업대출의 연체율 상승폭이 더 컸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단순평균 연체율이 1년 새 0.25%에서 0.29%로 4bp(1bp=0.01%p) 오를 때 기업대출 단순평균 연체율은 0.28%에서 0.33%로 5bp 올랐다.



5대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해 1분기 약 723조원에서 올해 1분기 약 793조원으로 약 70조원(9.7%) 증가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와 은행권의 기업대출 강화로 증가폭이 큰 데다가 고물가·고금리 여파에 원리금 상환이 어려운 기업들이 늘면서 연체율이 더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에 따라 건설업 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 상승이 두드러졌다. 업종별 연체율을 공개하지 않는 농협은행을 제외한 4대 은행의 1분기 말 기준 건설업 대출 연체율 단순평균은 0.78%로 지난해 1분기 말의 단순평균(0.37%)보다 2배가 됐다.



이중에서도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1%를 넘어섰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분기 말 0.46%에서 올해 1분기 말 1.18%로 올랐고 하나은행은 같은 기간 0.28%에서 1.13%로 건설업 대출 연체율이 급등했다. 이들 은행의 업종별 연체율 중 1%를 넘는 업종은 건설업이 유일했다. KB국민은행은 같은 기간 0.26%에서 0.41%로 올랐고 우리은행은 0.46%에서 0.39%로 소폭 낮아졌으나 전체 기업 연체율 평균(0.28%)보다는 높았다.

앞서 하나금융은 지난 26일 컨퍼런스콜에서 강재신 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CRO)가 "현재 PF 부실 충당금을 평균 약 5% 전후로 적립했고 사업장에 따라 10%씩 쌓은 곳도 있다"며 "2, 3분기로 갈수록 브릿지론부터 시작해서 본PF까지 일부 구조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PF 부실에 따른 추가 충당금 적립을 예고하기도 했다.

기업부채 부실과 관련한 경고의 목소리도 나왔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위기별·산업별 비교 분석을 통한 국내 기업부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상환능력 취약 기업의 차입금 비중이 평가지표에 따라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이어 "산업별 기업대출 추이를 보면 팬데믹 이후 생산성이 낮은 부문으로 인식되는 부동산 관련 업종 등에서 기업대출이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당장은 기업부문의 부실이 경제 전반의 위기로 전이될 정도는 아니라고 봤다. 신 연구위원은 "PF 사업장 등 기업의 특정 부문 리스크가 경제 전반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잠재 리스크를 식별하고 선제적 대응책 마련에 주력해야 한다"며 "위기 재발 방지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