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은 유럽 안보·탄소중립에 필수…韓은 완벽한 원전 공급국가"

머니투데이 부산=최민경 기자 2024.04.24 20:00
글자크기

(종합)

보그단 테르메간 루마니아 원자력산업협회 이사/사진=최민경 기자보그단 테르메간 루마니아 원자력산업협회 이사/사진=최민경 기자


"지금까진 많은 국가들이 재생에너지에 집중했지만 최근에는 원전과 함께 에너지 믹스를 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 같습니다. 스웨덴, 네덜란드, 벨기에 같은 국가에서 분명히 보여지고 있습니다.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혼합하는 국가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윌리엄 맥우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원자력기구(NEA) 사무총장은 24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한 부산국제원자력에너지산업전(INEX 2024)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원전을 바라보는 유럽의 시각이 우호적으로 바뀌고 있다. 많은 유럽 국가들이 탄소 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위해 원전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SMR(중소형모듈원자로) 등 신기술에 대한 투자도 아끼지 않는다. 원전 강국인 한국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 원전을 처음으로 도입하는 폴란드가 대표적이다. 라팔 우카식 폴란드 우카시에비츠센터 연구혁신실장은 "폴란드는 주요 에너지원이 석탄이었지만 유럽연합(EU)의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에너지 믹스를 변화시키려고 한다"며 "태양광·풍력 에너지를 포함한 재생에너지 시스템을 안정화시키려면 기저전원으로 원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카식 실장은 "폴란드는 투자를 많이 받는 국가인데 저탄소 전력을 이용해서 생산한 제품에만 많은 투자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화석발전에서 원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지난해 12월 폴란드 환경부 설문 조사 결과 폴란드 국민들의 99%가 원전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해상풍력 강국 영국도 기저전원인 원전 확대에 진심이다. 톰 그레이트렉스 영국원자력산업협회 회장은 "저탄소 에너지가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단지 해상풍력만으론 기저전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둘 다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원자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지난 15~20년간 정치 진영을 떠나 모두 원전 확대 정책을 펼쳐왔다"고 말했다.

이어 "영국의 녹색당도 원전 확대를 지지하고 있다"며 "원전의 다양한 인프라 관련 대형 프로젝트도 수월하게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유럽의 청정에너지 공급 리더가 되겠다는 핀란드도 원전 친화정책을 펼치고 있다. 핀란드는 원전에 대한 국민 인식 역시 긍정적이다.

해리 바르요넨 핀란드 원자력산업협회 사무국장은 "핀란드에선 원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공개적으로 대화를 하기 때문에 국민들이 긍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다"며 "원자력 발전소에서 어떤 문제가 일어났을 때 무슨 일이 발생한 것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작은 정보들도 모두 공유한다"고 말했다.

바르요넨 사무국장은 "핀란드는 화석발전을 SMR로 모두 대체하자는 계획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핀란드 정부가 SMR을 개발하는 회사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유럽의 분위기는 한국에 기회로 작용한다. 보그단 테르메간 루마니아 원자력산업협회 이사는 "한국과의 글로벌 파트너십이 원자력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굉장히 핵심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한국과의 협력을 강조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해 6월 체르나보다 원전 삼중수소제거설비(TRF) 건설사업을 수주했다. 한수원이 들어간 컨소시엄은 총 사업비가 2조5000억원 규모인 체르나보다 1호기 계속운전을 위한 설비개선 사업의 수주도 유력하다.

맥우드 OECD NEA 사무총장은 "한국은 완벽한 원전 건설 공급망을 보유하고 있다"며 "바라카 프로젝트도 적기 완공했고 발전소 전체를 건설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품을 제공하는 능력도 뛰어나다"고 말했다.

이어 "원전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나라들이 매우 적기 때문에 한국이 세계에 주요 원전 부품을 제공하지 않으면 원전 건설이 거의 불가능할 것"이라며 "한국의 기술은 미국 규제 승인을 받기도 했고 여러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