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승진의 조건, 조건 있는 승진

머니투데이 반준환 증권부장 2024.01.18 03:00
글자크기
지금은 의미가 많이 퇴색했다지만 직장인들은 여전히 임원승진을 꿈꾸며 살아간다. 인사고과에 목을 메고 상사의 눈치와 후배들의 압박을 한숨으로 견디면서도 임원만 되면 좋겠다고 한다. 과거에는 인생의 목표가 임원승진인 이들도 많았다. 힘이 그만큼 막강했고, 처우도 좋았기 때문이다. 모 그룹 상무로 퇴직하면 평생 먹고 살 자금이 나오고 전무는 아들 딸까지, 사장이 되면 손자까지 걱정없다는 말이 있었다.

실제 2000년대 초반 한 그룹사 인사담당자에게 "승진 1년만에 퇴직한 상무급에게 지급되는 비용이 16억원에 달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 있다. 퇴직 후 고문활동하며 지급되는 사무실, 비서, 차량, 운전기사 등 각종 비용을 합한 것이긴 했지만 적잖은 금액이었다. 2000년 강북 30평대 아파트 가격은 2억 남짓이었다.



지휘봉 무게도 지금과는 사뭇 달랐다. 직원의 생사여탈과 처우까지 결정했고 사업 전결권도 있었다. 직원은 미생, 임원은 완생으로 가는 길이었다. 그룹 총수들도 임원들은 특별히 대우했다. 한 그룹사는 수십년 전부터 신규 임원에게 업무용 노트북, 계약서 사인용 만년필, 출장용 가방으로 구성된 업무용품 세트를 제공했는데 이를 받고 눈물을 흘린 이들이 한 둘 아니다.

승진 임원은 제주도에서 회장님 내외와 교육을 받는데 동반한 배우자들은 따로 모여 에티켓과 교양 강의를 들으며 친분을 쌓았다. 삼성, LG, 현대차, 한화 등 주요 그룹들은 이 같은 전통이 있다. 이들은 창립 이념과 사내문화 사업전략 등 각사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임원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운영하는데 최근 들어서는 실무측면이 강조되면서 대학 전문과정을 뺨칠 만큼 교육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반응이다.



내부 뿐 아니라 외부기관 위탁교육도 많이 늘었다. 서울 주요 대학과 대학원에 개설된 최고 경영자 과정을 비롯해 지역 전문가 교육도 많다.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최고경영자 과정을 개설한 곳들도 적지 않다.

글로벌 기업들도 임원교육에는 큰 공을 기울이는데 2020년 작고한 잭 웰치 전 GE(제너럴일렉트릭) 회장은 젊은 직원이 임원을 교육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GE가 생산하는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젊으니 이들 눈높이에 맞춰 20~30대 직원들이 상사를 교육시키라는 것이다. 웰치 본인도 30대 중반의 부장에게 인터넷 지식을 배웠다.

임원에 집중됐던 업무교육이 일반직원으로 넓혀진 것은 2000년대 초반 부터다. 직원들의 자질이 사업부의 성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늘었고 젊은 임원들도 탄생하면서 인력 수요가 커졌다. 처음에는 부장급에서 실시되던 승진자격 시험과 교육이 차장, 과장으로 내려가더니 이제는 대리급으로 낮아졌다. 기업 뿐 아니라 민간단체와 각종 협회에서도 교육은 중요한 업무로 판단한다. 맥킨지를 비롯한 컨설팅 업계와 글로벌 기업들, 회계법인들도 교육전문 기업과 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해 최고 경영진 후보풀을 관리하고 객관적으로 자격을 평가한 후 교육으로 직원들의 능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얼마전 협회 한 곳에서 직원들의 직무교육과 관련해 잡음이 들려왔다. 이 협회는 일반 기업 대비 요구되는 직무가 많고, 필수 자격증도 많은 편이다. 협회에서는 승진 대상자들을 위해 외부강사를 섭외, 업무 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스스로 공부하는 것보다 사무실에서 교육을 들으면 시간과 비용을 함께 아낄 수 있다.

해당 협회 직원들은 퇴근 후 교육이 업무시간에 포함된다며 시간외 근무수당을 요구, 받아냈다고 한다. 교육참석이 의무사항이라면 근로시간에 해당해 수당지급에 문제는 없다. 그런데 이 이후가 좀 아리송하다. 일부 직원들이 예전에 실시한 교육과 과거 참가자에게도 이를 소급해 추가수당을 지급해 달라며 법 의견을 첨부한 공문을 협회장에게 발송했다고 한다. 직원들이 요구하는게 수당인지 교육을 강제하지 말라는 주장인지 모르겠다. 그것도 아니면 다른 행간이 있을까. 이에 대한 협회장의 생각은 어떨까. 교육이 자신에 대한 투자일지, 귀찮은 업무 중 하나인지도 고민해볼 대목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