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가스공사 3분기 실적 개선했지만 4분기 전망은 춥다(종합)

머니투데이 세종=최민경 기자 2023.11.13 17:24
글자크기
한전·가스공사 3분기 실적 개선했지만 4분기 전망은 춥다(종합)


한국전력 (19,370원 ▲20 +0.10%)공사가 10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분기 전기요금 인상과 올해 상반기 에너지 가격 하락 효과가 반영됐지만 국제유가와 환율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흑자 지속 가능성이 불투명하다. 난방수요가 늘어나는 동절기를 앞두고 한국가스공사 (56,600원 ▼2,800 -4.71%)의 미수금 역시 계속 쌓이는 상황이다.

한전은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조9966억원으로 적자폭이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4조4700억원으로 23.7%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8333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전기요금을 인상한 결과 3분기 전기판매수익은 23조1641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25.3% 늘었다. 반면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 효과로 연료비와 전력구입비를 포함한 영업비용은 22조4734억원으로 같은 기간 17.7% 줄었다. 지난해 3분기 9조6052억원이었던 연료비는 6조5418억원, 지난해 3분기 11조797억원이었던 구입전력비는 9조2553억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상반기 기준 47조원에 이르는 한전의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엔 턱없이 모자라다. 정부는 지난 8일 4분기 산업용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 당 10.6원 올렸지만 업계에선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선 민수용과 산업용을 포함해 kWh당 25.6원 올렸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4분기 실적도 불투명하다. 한전 관계자는 "지난해 4월 이후 올해 3분기까지 5차례의 요금조정과 연료가격 안정화로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발생했다"면서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에 따른 국제유가와 환율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흑자 지속이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가스공사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가스공사의 3분기 도시가스 민수용 미수금은 상반기 말보다 2767억원 증가한 12조520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8조5856억원보다 3조9346억원 늘어난 액수다.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보다 60.6% 증가한 2303억7000만원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6.5% 감소한 7조8892억원이다.

가스공사는 가스를 외부에서 사 온 금액보다 싸게 팔아 적자가 생기면 이를 '미수금'으로 분류해 놓고 이후 가스요금 인상을 통해 회수하는 회계처리 방식을 택하고 있다. 국제 에너지 가격 안정으로 미수금 증가 폭은 둔화됐지만 올해 가스요금 인상이 2분기 한 차례에 그치면서 여전히 민수용 도시가스는 원가 이하로 공급되고 있다. 가스요금의 원가보상률은 78%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2분기 가스요금을 MJ(메가줄)당 1.04원 소폭 인상했지만 3·4분기 고물가 속 국민 부담 경감을 위해 가스요금을 동결했다. 4분기가 난방 수요가 가장 높은 동절기임을 감안하면 연말까지 미수금 상태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올해 겨울은 예년보다 추워질 전망인만큼 난방 수요가 늘 것으로 보인다. 현재 원가보상률을 감안하면 난방사용량이 높아질 수록 가스공사의 미수금은 가파르게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정부는 취약계층 가스요금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기 때문에 요금인하 재원 마련도 가스공사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동절기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하는 정부정책에 따라 도시가스 요금 지원액이 기존 9만6000원에서 59만2000원으로 6배 확대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 효과는 2022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