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열의 Echo]90년 전통 남자고교의 여자신입생

머니투데이 송정열 디지털뉴스부장 겸 콘텐츠총괄 2023.10.25 03:30
글자크기
# 서울 중구에 있는 J고등학교를 다녔다. 집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한 평범하고 전형적인 동네 남자고교였다. 역사는 제법 되지만 졸업생들이 활발히 모임을 하며 끈끈한 관계를 이어가는 곳은 아니다. 약수동, 금호동, 신당동 등 인근 주거지역이 대부분 재개발되면서 일찍부터 친구들이 뿔뿔이 흩어진 영향도 있을 것이다.

오래 전 졸업한 고교 이름이 최근 신문과 방송에서 심심찮게 등장한다. 전국에서 손꼽히는 야구 명문으로 거듭나면서다. 사실 재학 당시에는 그리 강팀이 아니었다. 2학년 때 무려 30여년 만에 처음으로 전국대회인 대통령배 야구대회 4강에 진출, 학교가 떠들썩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남아 있다.



얼마 전 깜짝 놀랄 만한 소식을 전해들었다. 남고 졸업생인 내게 여자 후배들이 생겼다는 것이다. 사연은 이렇다. 저출산으로 6~17세 학령인구가 계속 줄어드는 가운데 도심 공동화 현상까지 나타나면서 서울 구도심에 있는 J고교는 신입생 확보에 계속 어려움을 겪었다. 몇 년 전만 해도 470명에 달한 전교생 수가 2022년 350여명까지 줄어들었다. 반면 중구에 일반계 남자고교만 3곳이 있다 보니 여학생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다른 지역 학교까지 먼 거리 통학을 해야 했다. J고교는 신입생 확보를 위해 남녀공학 전환이라는 결단을 내렸다. 개교 90년 만에 금녀의 벽을 스스로 허문 올해 남학생 73명과 여학생 78명이 입학했다.

J고교처럼 신입생 부족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올해 남녀공학 전환을 선택한 서울시내 학교는 모두 5곳이다. 저출산에 따른 학생수 감소의 충격이 산간벽지나 지방만이 아니라 서울시내 한복판까지 뒤흔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올해 전국 학령인구는 531만명이다. 딱 10년 만에 127만명이 줄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앞으로 남녀공학 전환을 넘어 학교간 통폐합과 폐교를 통해 사라지는 학교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과연 우리 학교들은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걱정이다.

# "솔직히 결혼해서 아이를 낳아 제대로 잘 키울 자신이 없어요." 요즘 젊은 세대의 결혼과 육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던 한 후배가 한 말이다. 한마디로 지금 현실에서 '출산은 미친 짓'에 가깝다는 주장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를 기록한 한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 0.78명은 이런 현실을 반영한다.

결혼을 앞둔 월급쟁이가 아무리 근검절약하며 저축했어도 혼자 힘으로 서울에 매매든 전세든 신혼집을 구하기는 매우 어렵다. 주변의 사례들을 보면 사실 불가능하다.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의정부, 수원 등에 전셋집이라도 구할 수 있으면 그나마 나은 편이다.


출산은 결혼과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다. 대출금 갚느라 허리가 휘는 상황에서 아이를 낳아 한 달에 수십, 수백만 원의 사교육비를 감당하며 어떻게 아이를 키우느냐는 아우성이 쏟아진다.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해외 유수 언론에서도 주목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달 "한국 정부가 공격적으로 보조금, 현금지급, 저금리 대출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았지만 출산율은 하락 추세를 보인다"며 "한국 정부가 결혼과 출산을 위해 2006년 이후 약 280조원을 쏟아부었다"고 지적했다.

해답은 이미 나와 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 일과 삶의 균형, 집값안정, 경쟁완화 등을 통해 출산이 불행이 아닌 행복이 될 수 있는 사회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무엇보다 여성들이 출산 후 독박육아의 부담을 덜고 일을 계속할 수 있는 환경구축이 시급하다. 정부, 기업, 가정 등 모든 사회 주체가 발 벗고 총력전에 나서야 한다. 그러지 못하면 아무리 많은 예산을 투입해도 출산율 제고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

넋 놓고 있을 때가 아니다. 저출산에 사라지는 건 학교만이 아니다. 대한민국도 지금 사라져가고 있다.

[송정열의 Echo]90년 전통 남자고교의 여자신입생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