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재 떨치고 '서프라이즈' 연속…포스코그룹 시총 115조원 달성

머니투데이 최경민 기자, 이세연 기자 2023.07.24 15:45
글자크기
/그래픽=윤선정 디자인기자/그래픽=윤선정 디자인기자


과거의 악재를 극복하고 미래 사업의 비전을 보여준 기업에 시장이 환호를 보내고 있다. 포스코그룹 얘기다. 철강 부문의 반등과 배터리·친환경 소재에서의 호실적을 앞세워 질주할 채비를 마쳤다. 상장 6개사의 시가총액은 100조원을 넘어섰다.

포스코홀딩스는 24일 지난 2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0조1210억원, 1조32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 36.8% 감소했다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18일 2분기 잠정 매출 및 영업이익이 20조1000억원, 1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던 바 있다.



업계는 포스코홀딩스의 영업이익 1조원대 회복에 의미를 부여했다. 전년 대비 실적이 떨어진 것은 '착시'에 가깝다는 평가다. 지난해가 코로나19(COVID-19) 이후 억제됐던 철강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오히려 태풍 '힌남노'에 따른 침수피해로 포항제철소 일부를 가동중단했던 악재를 완전히 털어버렸다는 의미가 '영업이익 1조원'에 부여됐다.

실제 2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은 1조21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이후 14개 분기 평균 철강부문 합산영업이익(1조190억원 ) 보다 많은 수준이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철강 부문 이익이 정상화된 것"이라며 "올해 초 포항제철소 침수복구 완료 후 2분기부터 본격적인 철강 생산과 판매 정상화가 이뤄짐에 따라 영업이익이 대폭 증가했다"고 말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1열연 공장포스코 포항제철소 1열연 공장
그룹의 미래 사업을 담당하는 계열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퓨처엠은 '서프라이즈' 실적을 거뒀다. 친환경 에너지·소재를 담당하는 계열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분기 창사 이래 최대 수준인 영업이익 3572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차전지 소재 기업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1조1930억원이라는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기존 트레이딩 분야뿐 아니라 친환경에너지, 모빌리티, 식량사업 분야에서도 호실적을 낸 결과"라고 밝혔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를 지난 4월부터 국내 최초로 양산·공급해 온 것이 매출액 증가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그룹은 중장기적 비전도 공개하며 사업 포트폴리오 업그레이드를 노리고 있다. 이날 포스코홀딩스는 2030년까지 △저탄소제품 1050만톤 생산 △친환경차 구동모터용 전기강판 국내외 100만톤 생산체제 확대 등의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2030년까지 △글로벌 조강(쇳물) 생산능력 5200만톤까지 확대 △배터리 소재 매출 62조원 달성 등의 목표를 거론했다.

철강 사업에 대한 우려를 씻어주면서 미래 사업성도 증명했다는 평가다. 이날 증시에서 포스코그룹 상장 6개사(포스코홀딩스·포스코퓨처엠·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DX·포스코엠텍·포스코스틸리온)의 주가는 9~30% 수준으로 치솟았다. 시가총액 총합은 115조원에 달했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그룹의 경우 철강이라는 확고한 기존 사업에 안주하지 않고 빠르게 신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보하는 것에 성공했다"며 "이런 노력이 자본시장에서도 인정받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