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무총장은 △한국건강생활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2708개 거짓 구매 후기를 올린 점 △네이버 '마이카' 서비스가 자동차세 연납 신청기간을 안내하면서 '전자문서'란 표현을 잘못 쓰고 광고성 정보를 제공한 점 등을 지적하며 "심각한 소비자 기만행위", "권력에 취해 간이 부어도 단단히 부었다"고 맹공했다.

업계에선 윤석열 대통령 방일 외교에 대한 부정적인 보도에대해 여권이 알고리즘의 편향성 문제와 연관시킨것으로 해석한다. 또 내년 4월 총선을 염두에 둔 포털 길들이기 차원도 있는 것으로 본다.
나아가 네이버를 시작으로 포털 다음을 운영하는 카카오 (43,750원 ▼1,050 -2.34%)로도 규제 화살이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자율규제를 약속했던 현 정부지만 네이버·카카오에 대해선 '확증편향과 가짜뉴스의 숙주'라며 인수위 시절부터 맹비판해왔다.
다만 네이버는 일찍이 이용자가 구독한 언론사 중심으로 뉴스 서비스를 개편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구심도 크다. PC·모바일 뉴스홈 첫 화면에 이용자가 구독한 언론사와 해당 언론사가 선정한 주요뉴스가 뜨는 게 대표적이다. 지난 연말 기준으로 네이버 모바일 앱에서 언론사를 구독해 보는 이용자는 2644만명을 기록했다. 인구의 절반은 뉴스를 구독해 보는 셈이다. 또 1인당 평균 7개 언론사를 구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영역은 △모바일 MY뉴스 △모바일·PC 섹션 상단 '헤드라인 뉴스' △PC 우측 '분야별 주요뉴스' △모바일 기사본문 하단 '함께 볼만한 뉴스' 4곳뿐이다.
이처럼 대부분의 뉴스 편집권이 언론사로 넘어온 상황에서 "네이버가 뉴스를 장악해 국민들이 사실을 모른다"는 지적엔 사실상 '네이버 묻지마 때리기'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더욱이 네이버는 부동산 매물정보 관련 시장지배적지위 남용, 카카오는 케이큐브홀딩스 의결권 제한 규정 위반 혐의로 검찰조사를 받고 있는데, 자칫 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