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정통부 측은 "디지털 창업·벤처 기업들이 ICT 분야 지원 사업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고 수혜 받을 수 있도록 인공지능(AI)·데이터·메타버스 등 기술 분야는 물론, 멘토링·컨설팅, 인프라·디지털 자원 등 지원 유형별로 세분화했다"고 설명했다.
또 스타트업 150개사를 선정,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K-Global 해외진출 지원', 우수 정보보호 스타트업 7개사 해외진출 지원, 현지 거점인 KIC·해외 IT지원센터 운영 등 10개 사업에 380억원을 투입한다.
SW 고성장클럽,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 K-디지털그랜드챔피언십 등 유망 스타트업이 고성장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8개 사업에 369억원을 투입한다.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의 사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디지털미디어 상용화 지원, 융합형 콘텐츠 개발지원 등 8개 사업에 411억원을 투입한다.
핀테크 기술지원센터 운영, 인공지능(AI)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등 초기 기업 입주 공간 및 테스트베드를 지원하는 7개 사업에 279억원을 투입한다.
AI 바우처 및 데이터 바우처 지원, 고성능컴퓨팅 지원 등 디지털 혁신 기술 관련 자원을 지원하는 5개 사업에 2154억원을 투입한다.
과기정통부 강도현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K-Global 프로젝트는 지난해 9월 발표한 '뉴욕구상' 및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에 발맞춰 디지털 청년기업들의 도전과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면서 "디지털 창업·벤처 생태계의 발전과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디지털 기술혁신 기업 육성을 위해 관계부처, 민간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