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생성 AI를 기반으로 광고 문구를 비롯해 이메일 작성 등 비즈니스 분야 다양한 글의 초안을 작성해주는 AI 콘텐츠 플랫폼 '뤼튼(wrtn.ai)'을 운영하고 있다.
이 대표는 "초기에는 신기술의 신기함을 전달하면서 반짝 돈을 버는 어플들도 생겨나고 장난감 같은 어플들도 많이 생겨난다. 이 과정이 조금 지나면 사업성을 매출과 성장세로 검증하는 서비스들도 생겨난다"고 말했다.
그는 "그다음 단계에서는 생성 AI로 할 수 있는 비즈니스가 본격화할 것이다. 이때 킬러앱이 나올 수 있다"며 "이후 많은 기업들이 시류에 편승해 생성 AI 제품을 활용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대표는 생성 AI의 특징으로 콘텐츠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이 0에 가깝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비용이 극단적으로 단축된다. 개인화된 콘텐츠를 무한히 생성해 낼 수 있다"며 "소요 비용이 없다는 이점을 활용하는 것이 생성 AI의 핵심 비즈니스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생성 AI 시장이 어떻게 발전할지는 2가지 시나리오가 있다"며 "시장의 파편화가 지속되면서 생성 AI 모델의 선택지가 많아지는 상황, 소수 개발사가 압도적인 성능으로 생성 AI 모델을 공급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이 영역의 산업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모델의 선택지가 많아지는 것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며 "생성 AI를 통해 사업하려는 곳들은 다양한 모델을 응용하고 조합하는 역량을 키우면서 생성 AI 기술의 이점을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