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쪘더니 여기저기 아픈데…비만이 '성병'은 막는다고?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2022.12.06 17:58
글자크기

카이스트, 성병 일으키는 '2형 헤르페스' 억제 기전 규명
생쥐 동물실험했더니…비만, 정상 대비 생존률 절반 이상
아르기닌이 질 안에서 '감마 델타 면역 T세포'를 활성화해

만병의 근원으로 알려진 비만이 오히려 '2형 헤르페스' 성병을 막을 수 있다는 기전이 밝혀졌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만병의 근원으로 알려진 비만이 오히려 '2형 헤르페스' 성병을 막을 수 있다는 기전이 밝혀졌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성병을 일으키는 '2형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비만이 억제하는 기전을 규명했다. '만병의 근원'으로 알려진 비만이 오히려 성병을 막는다는 역설적인 연구 결과다. 이번 연구는 향후 관련 항(抗)바이러스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일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에 따르면 이흥규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에 비만이 2형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저항성을 지닌다는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2형 헤르페스'는 일종의 성병으로 생식기를 타고 전파되는 질환이다. 생식기 주변에 수포(물집)가 생기면서 발열과 통증은 물론 면역력 저하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신경절에 숨어들 경우 파악은 물론 완치도 어렵다. 이 때문에 건강한 사람도 뇌염·뇌수막염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연구팀은 2형 헤르페스 감염을 억제하는 방안이 많지 않아 관련 연구에 집중했다. 여성의 질에는 젖산균을 포함한 균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 균은 질을 보호하기도 하고 때로는 질 안에서 함께 사는 '공생미생물'과 결합해 바이러스를 일으키기도 한다.



비만의 '2형 헤르페스' 억제 기전. / 사진=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비만의 '2형 헤르페스' 억제 기전. / 사진=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은 비만이 되면 질 내 공생미생물 조성이 변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생쥐 동물 실험을 진행했다. 암컷 생쥐에 비만을 유도하고, 호르몬 주기를 통일시킨 뒤 2형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그 결과 마른 생쥐는 높은 병변을 보이며 결국 대다수 사망에 이르렀지만, 비만 생쥐들은 이와 달리 낮은 병변을 보이고 절반 이상이 생존했다. 또 감염 초기부터 질 세척액에서 관찰되는 바이러스 역가가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만 생쥐는 초기 선천면역 단계부터 항바이러스 면역 반응이 활성화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공생미생물 조성이 변하는 이유가 장에서 유래된 균들이 아르기닌(아미노산 일종)을 다량 생산하기 때문이란 사실을 발견했다. 아르기닌이 사실상 방패막으로 바이러스 감염을 막았다. 이어 아르기닌이 질 안의 '감마 델타 T세포'(면역세포 일종)를 강화한다는 사실도 관찰했다. 비만에 의한 항바이러스 면역 반응은 감마 델타 세포가 주도한다는 것이다.


이흥규 교수는 "비만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저항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비만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분자 메커니즘을 응용해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른 쥐와 비만 생쥐가 '2형 헤르페스'가 감염된 뒤 다른 생존률과 바이러스 수준. /사진=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마른 쥐와 비만 생쥐가 '2형 헤르페스'가 감염된 뒤 다른 생존률과 바이러스 수준. /사진=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