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노조와 한국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로 구성된 연합교섭단은 오는 30일 총파업에 앞서 지난 24일부터 '2인 1조' 근무 규정을 철저하게 지키는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명순필 공사 노조 위원장은 "사측과 협상에서 핵심 쟁점은 임금 인상이 아니라 구조조정, 안전 인력 문제"라며 "이태원 참사로 서울시는 안전 강화를 위해 주요역에 190명의 인력을 추가로 투입하고 있는데 1539명의 인력을 감축한다는 것은 이중적인 태도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오세훈 시장과 시의 입장 변화가 있다면 파업에 돌입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명 위원장은 "오 시장과 대화하고 싶다"며 "면담요청을 공개하기도 했지만 오 시장은 철저하게 서울교통공사만 내세우고 나서지 않는다"고 했다.
이에 공사는 근무제도 개선을 통한 효율적 인력 조정안이라는 입장이다. 공사 관계자는 "비핵심 업무 등은 자회사로 이전하는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정원을 줄여가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노조는 단체교섭 결렬 이후 사측의 교섭재개 요청을 수용해 이날 오후 4차 본교섭과 28일 5차 본교섭을 개최한다. 하자만 타결 전망은 현재로선 밝지 않다.
실제 서울 지하철 파업이 이뤄진다면 2016년 성과연봉제 반대 총파업 이후 6년 만이다. 2008년 도입된 필수유지업무 제도에 따라 지하철은 노조 파업 시에도 전체 인력의 30% 수준의 최소 인력을 유지해야 한다. 출퇴근 시간 열차는 정상 운행하고 나머지 시간대의 열차 운행률(단독 운영노선 기준)은 평소의 65.7~79.8% 수준으로 유지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