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국가' 영국의 안간힘 [우보세]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 2022.11.01 05:30
글자크기
(왼쪽부터) 보리스 존슨, 리즈 트러스 영국 전 총리, 리시 수낵 현 총리/사진= 뉴스1(왼쪽부터) 보리스 존슨, 리즈 트러스 영국 전 총리, 리시 수낵 현 총리/사진= 뉴스1


"7주 사이 세 명의 총리"

최근 영국의 정치혼란을 지켜본 해외언론의 헤드라인이다. 7월 사의를 밝힌 보리스 존슨 총리는 리즈 트러스 외무장관이 보수당 새 대표로 선출되자 9월 총리직을 넘겼다. 하지만 트러스는 7주를 채우지 못하고 조기사퇴했다. 전례없는 혼란 끝에 리시 수낵 신임총리가 취임했다.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은 옛 이야기라도 영국이 쌓아올린 기반이 쉽게 무너지진 않았다. 이제 그 평가도 바꿔야할 지 모른다. 영국 런던은 외환 및 장외 파생상품 거래부문 세계1위지만 그 위상은 하락세다. 국제결제은행(BIS) 조사 결과 지난 4월 기준 세계 외환의 38%, 장외 파생상품은 46%가 런던에서 거래됐다. 2019년 대비 각각 5%포인트씩 줄었다.



런던에서 빠져나간 거래는 다른 곳으로 분산됐다.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영향도 크다.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는 영국이 브렉시트를 완료한 직후인 지난해 2월, 런던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거래소에 주식 거래량 유럽 1위 자리를 내줬다고 밝혔다.

(런던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25일(현지시간) 런던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 앞에서 첫 대국민 연설을 하고 있다.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런던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25일(현지시간) 런던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 앞에서 첫 대국민 연설을 하고 있다.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물론 영국은 여전히 강대국이다. 2017년 이후 국내총생산(GDP)은 세계 5~6위 선이다. IMF(국제통화기금) 기준 올해 3조2000억달러로 6위다. 13위 한국(1조7000억달러)의 두 배에 가깝다. 영국은 세계 경제의 벤치마크 역할도 한다. 북해 브렌트 유전은 더 이상 실효적 의미가 없지만 북해산 원유는 지금도 브렌트유라는 이름으로 거래된다. 영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고 주요7개국(G7) 멤버다.



하지만 이런 자랑거리는 대개 과거부터 쌓인 것, 즉 '레거시'다. 최근 새로 만들어낸 것은 찾기 어렵다. 특히 경제분야는 부침이 심하다. 최근 영국 파운드화 가치가 출렁이며 세계경제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파운드화는 헤지펀드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영연방은 쪼그라들었다. 고(故) 엘리자베스 2세가 즉위할 때 32개 '영연방 왕국'들의 군주직을 겸했다.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뿐 아니라 나이지리아와 케냐 등도 있었다. 그후 70년, 17개국이 공화국으로 전환하는 등 영연방을 떠났다. 영국은 이미 '보통국가'의 길로 접어들었다. 물론 일본이 말하는 보통국가와 다른 의미지만 말이다.

영국이 위축됐으니 관심을 꺼도 될까. 아니다. 영국의 변화는 그 방향이 무엇이든 주목해야 할 이슈다. 그간 영국이 주도해 온 국제질서가 있다. 한국도 그렇게 설정된 '경로' 속에서 움직여 왔다. 영국은 북한 평양에 자국 대사관을 둔 나라이기도 하다. 한반도 외교에서 무시할 수 없는 존재다.


영국이 보통국가가 돼가는 사이 대영제국에게 아편전쟁의 '굴욕'을 당했던 중국은 '굴기'의 시대를 맞이했다. 영국에 내줬던 홍콩을 돌려받았을 뿐 아니라 그 치욕을 되갚아주려는 노력을 진행해 왔다. 영원한 것은 없다. 우리도 시사점을 찾을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수낵 영국 총리는 이태원 참사 관련 지난달 30일 트위터를 통해 애도를 전했다. 그는 "서울에서 끔찍한 뉴스가 있었다"며 "우리는 이처럼 어려운 순간에 대응하고 있는 이들과 모든 한국 국민과 함께 한다"고 밝혔다.
김성휘 기자김성휘 기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