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컨트롤 타워도 없는데, K바이오 육성 외쳐봐야

머니투데이 정기종 기자 2022.10.31 06:30
글자크기
[기자수첩]컨트롤 타워도 없는데, K바이오 육성 외쳐봐야


윤석열 정부가 또 하나의 바이오산업 육성카드를 뽑아들었다. 이번엔 국가 바이오 파운드리 구축이다. 반도체 산업의 파운드리(위탁생산) 개념을 도입해 국가 차원에서 백신·신약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신속 생산에 기반한 10년 내 전 세계 바이오시장 두 자릿수 점유율이 목표다.

업계는 바이오 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 의지를 환영하면서도, '선택과 집중' 측면에선 아쉬움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선결과제들이 산적해 있는 탓이다.



현재 국내 바이오 산업이 전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2%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 수치에 비해 존재감은 결코 작지 않다. 일찌감치 바이오시밀러 분야에 진출한 셀트리온은 주요 국가에서 1위 점유율을 유지 중이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으로 발돋움 했다. 상대적으로 영세한 바이오벤처들 역시 독자기술로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과 잇따른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 중이다.

이는 전통 산업에 비해 미미했던 국가 지원 아래 묵묵히 기술력을 갈고닦은 업계 노력의 산물이다. 부쩍 커진 존재감에 정부의 관심 역시 눈에 띄게 늘었다.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들이 쏟아지는 배경이다.



다만 무엇을 위한 육성 의지인가에 대한 시선은 다소 엇갈린다. 정부는 이미 앞서 숱한 바이오 산업 육성의지를 밝혀왔다. 하지만 지난 2012년 제시한 '2020년 제약산업 7대강국' 달성은 현실성이 턱없이 부족했고, 약가제도는 시대를 역행한다는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급부상한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역시 탁월한 ICT(정보통신기술) 경쟁력에도 체계를 잡지 못한 제도에 세계 무대 경쟁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업계 숙원사업인 바이오 컨트롤타워는 여전히 부재 중이다. 진정한 산업 육성이 아닌 보여주기식 정책 발표라는 지적이 뒤따르는 이유다.

대표 규제산업인 바이오 산업에 정부의 육성 및 지원 의지는 두 손들어 환영할 요소다. 하지만 현재 글로벌 바이오 시장 내 국내 입지는 잘 하는 분야가 분명한 '작은 기술강국'이다. 세계 무대에서 영세한 국내 바이오 산업에 현재 시급한 것은 관심이나 격려가 아닌 실효성이 있는 지원이다. 당장 덩치를 불리고, 무작정 흐름을 따라가기 보단 '진짜 성장'을 위한 내실있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때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