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나티, 이 천재소년의 탄복스런 오선지

머니투데이 한수진 기자 ize 기자 2022.06.15 14:13
글자크기
빅나티, 사진제공=하이어뮤직빅나티, 사진제공=하이어뮤직


장난꾸러기. 영어 'BIG Naughty'의 뜻이다. 공부를 잘한다는 학생들만 다닌다는 대원외고에 진학하며 Mnet '쇼미더머니'에 출연했던 빅나티에게 'BIG Naughty'의 의미는 그를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단어일지 모른다. "촬영 오기 전 국어 학원을 다녀왔다"고 말했던 고3 시절 빅나티의 매거진 인터뷰는 그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주기도 한다. 2019년 하이어뮤직에 입단해 첫 일정에 불참한 이유도 "학교 체육대회에 참석해야해서"였다. 같은해 Mnet '고등래퍼3'에 출연했던 참가자들은 힙합에 대한 정의를 학교 밖의 것들에서 찾았다. "이게 힙합이야"라고 말했던 그들 입에서 나온 힙합에 대한 정의는 '자퇴'였다. 그들의 정의에 따르면 빅나티는 힙합과는 거리가 먼 인물이다.

허나 아이러니하게도 빅나티가 속한 하이어뮤직은 '2021 한국힙합어워즈'에서 올해의 레이블을 수상한 힙합 레이블이면서, 그의 또래인 Z세대 래퍼들이 가장 입단하고 싶어하는 꿈의 플레이스다. 힙합이 아닌데 힙합의 가장 중심체에 발을 들인 존재. 래퍼들 사이에서도 정체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지드래곤을 오마주하며 샤라웃하고, 유재하와 같은 80년대 음악을 힙합보다 많이 듣는다는 존재. 그는 박재범이 대표로 있던 하이어뮤직에서 처음 발표한 '시발점'을 통해 "빈지노가 내 옆에서 같이 랩을 하고 있는 것 같다"며 실제 해당곡의 피처링으로 빈지노와 함께해 자신의 존재를 공표했다.



그의 존재 가치는 어른들인 선배 래퍼들로부터 발굴됐고, 지금까지 나열해온 여러 장의 디스코그래피로 그 가치를 증명했다. 버스 기사님을 위한 헌정곡 '휴(休)', 송창식의 '담배가게 아가씨'를 오마주한 곡 '커피가게 아가씨', 젊음의 사랑과 꿈, 후회를 담은 앨범 'Bucket List(버킷리스트)', 수험생인 자신과 같은 처지의 친구들을 위해 수능날 발표한 곡 'STAB(스탭)'까지. 'SIKE(사이크)'를 제외하곤 내놓은 노래들은 하나 같이 현실과 낭만에 걸쳐져 있다. 돈과 여자 자랑에 집착하는 한국 힙합신과 달리 그의 가사는 다양성을 잃어가고 있는 한국 교육 시스템을 꼬집고, '아픔이 흙이 되어 꽃을 피운다'는 시적(詩的)인 낭만을 품는다. 이는 세태를 비판하던 과거의 힙합 정신, 그리고 쎄시봉이 주름 잡던 낭만의 시대를 타고온 항해처럼도 보인다.

빅나티, 사진제공=하이어뮤직빅나티, 사진제공=하이어뮤직


지난 9일 발매한 EP '낭만'은 빅나티의 존재 가치에 대한 완결이다. 그는 힙합이 시이자 문학이 될 수 있으며, 그 둘과도 다른 차원의 무언가라는 사실을 일깨운다. 반복적으로 귀에 박히는 멜로디나 자극적인 낱말들은 없지만 그가 멜로디와 비트 위에서 노래와 랩을 하면, 평이한 줄 알았던 가사가 멋의 향취를 담은 특별한 것처럼 들리게 한다. 그리고 이 앨범이 알앤비/어반으로 분류된 것처럼 힙합이냐 아니냐를 두고 펼치는 논쟁은 의미를 잃게 된다. 창모, 박재범, 디보가 랩보단 노래에 가까운 피처링을 통해 이 앨범에 동조한 것처럼. 그리고 이는 빅나티를 두고 '싱잉랩만 할 줄 아는 반쪽 래퍼, 이럴 거면 그냥 노래를 해라'라며 비아냥 대던 이들을 향한 고급진 항변이다. 그래서 준비한 작정한 노래들이자, 힙합의 줄기를 놓지 않은 장르 간의 내러티브가 있다.

첫곡에 나긋한 목소리를 지닌 성우 김기현의 내레이션으로 앨범 주제인 '낭만'을 작정하고 들려준 후 끝트랙인 '마침표'의 "영화를 다 다시 찍어서라도 웃게 만들 거야 이 결말"이라며 전후에 배치한 노래들은 빅나티가 주는 강력한 메시지가 된다. 서정적인 것의 예술성과, 결국 웃게되는 건 자신이라는 결말. 그리고 이런 낭만의 조각 10개가 한 장의 앨범을 이루고, 이 앨범은 빅나티라는 사람의 한 마디로 형용할 수 없는 음악 서사를 담는다. 빅나티는 말뿐이 아닌 행동으로, 그것도 결코 쉽게 쓰이지 않고 수정과 반복을 통해 완성한 정교한 노래들로 힙합의 갇히지 않는 틀을 보여준다. 대놓고 힙합보단 클래식 첼로를, 투팍보다 멘델스존의 그것을 담았다고 말한 '낭만'은, 학교를 다니고, 노래를 불러도 그의 가치를 평가 절하할 수 없음을 탄탄하게 증명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