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미래戰 이끌 이종호…"모방 넘어 '최초'의 역사 쓰자"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2022.05.11 10:19
글자크기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11일 공식 취임
과학기술 5대 강국 도약 위해…5대 정책방향 발표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05.03.[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05.03.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1일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기술 대변혁의 갈림길에서 글로벌 선도국으로 발돋움하려면 기존의 추격자에서 선도자가 돼야 한다"며 "모방을 뛰어넘어 대한민국이 새로운 변화를 주도하며 세계 최초·최고를 창조하는 도전의 역사를 써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 과기정통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과학기술이 곧 경제이자 안보인 시대가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세계적인 반도체 권위자로, 윤석열 정부 초대 과기정통부 장관이다. 그는 경제·산업 안보 총력전을 펼치겠다는 윤 대통령 의중에 따라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기술 주무부처 수장으로 임명됐다.



이 장관은 "우리나라는 자원 하나 없는 최빈국에서 추격형 모델을 통해 과학기술 입국의 기틀을 세우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화와 정보화에 성공했다"며 "하지만 우리가 여기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선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절실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지금 기술 대변혁의 한복판에 서 있다"며 "문명사적 변환이라고도 하는 디지털 대전환이 코로나19로 가속화됐고 주요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나날이 격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앞선 나라를 재빨리 따라가던 시절은 근면성실하기만 하면 됐으나 이제는 가보지 않은 길을 가야 하고 우리가 어떤 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모든 것이 달라질 것"이라며 "그러나 미래는 꿈꾸는 자의 것이고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미래를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고 했다.

과학기술 5대 강국 도약 위해 5대 정책방향 발표

이 장관은 이날 '과학기술 5대 강국, 디지털 경제 패권 국가' 완성을 위해 5가지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이 장관은 "첫 번째로 과학기술·디지털 정책 전반에 민간 참여를 확대하고, 임무지향형·문제해결형 연구개발 등 국가혁신시스템을 새롭게 재설계해야 한다"며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에서 이제는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탈추격형·선도형 연구개발로 전환이 정착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두 번째 과제로 반도체·인공지능(AI)·우주·바이오 등 초격차 핵심기술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초연구에 대해선 자율과 창의를 보장하고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공언했다.

이 장관은 "초격차 핵심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고 혁신의 원천이 되는 기초연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며 "기술이 주권인 시대에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전략적 투자와 전방위적 지원을 강화하고 보다 실질적인 산학연 혁신생태계를 공고히 해 우리만의 초격차·지렛대 기술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세 번째로 민간의 창의를 바탕으로 디지털 신산업을 선제 육성하고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며 "또한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를 통해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연계하고 활용을 촉진해 간다면 데이터 기반으로 대국민 서비스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사이버보안 체계 강화도 약속했다. 그는 "세계 최고인 우리 네트워크 경쟁력을 유지하며 사이버보안 체계를 강화하고 디지털 공동 번영사회를 구현해 나가야 한다"며 "디지털 경제의 기본 인프라인 5G·6G(5·6세대 이동통신) 등 네트워크를 계속 고도화하고 사이버보안도 함께 강화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과학기술 정보통신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해 예산 투자의 효용성을 극대화해야 한다"며 "국가 기술경쟁력 제고 및 신산업 창출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훌륭한 인재는 과학기술 전 분야에서 핵심"이라며 "인구가 점차 감소하는 상황에서 많은 인재를 키워내는 것은 한계가 있겠지만, 이를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교과목 등을 통해 양질의 인재를 키워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