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회장은 김 총리와의 간담회에서 앞으로 3년 동안 연간 1만명씩 총 3만명을 직접고용하는 데 더해 산업 생태계 지원과 육성을 통해 9000개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LG그룹은 추가 일자리 9000개 창출 방안으로 스타트업 분야 1500억원 투자, 채용계약학과 등 산학연계 프로그램 확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프로그램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이렇게 되면 기존 프로그램으로 약 60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데 이어 3000개를 추가 창출할 수 있게 된다.
김 총리는 이날 간담회에서 "총리직을 맡으면서 일자리를 비롯한 청년들의 고민을 조금이라도 덜어야 한다는 절박감으로 청년일자리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LG그룹이 크게 화답해줘 감사하다"며 "기업과 정부가 함께 힘을 모아서 청년 일자리를 늘려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해보자"고 말했다.
김 총리는 또 기업들의 '청년희망ON 프로젝트'에 더해 일자리와 창업에서 미스매치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맞춤형 인재 양성과 청년 기술창업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 회장은 "기업인의 한 사람으로 기업의 가장 중요한 소임은 일자리 창출이라고 생각한다"며 "미래 첨단 분야에 앞서서 투자하고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기업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학계나 중소기업, 협력업체, 그리고 청년 스타트업이 함께 참여하는 산업생태계를 육성해 함께 성장하면서 일자리를 더해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LG그룹은 KT와 삼성그룹에 이어 '청년희망ON'에 세번째로 동참했다. '청년희망ON'을 통해 향후 3년 동안 기업들이 창출하기로 약속한 일자리는 총 8만1000개에 이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