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LG는 배터리 화재의 답을 찾을 수 있을까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2021.09.16 04:00
글자크기
GM이 쉐보레 볼트 전기차 화재 위험에 따른 리콜 확대를 결정한지 4주째에 들었다. LG측은 "원인규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답변 외 구체적 언급은 아낀다. 일각에선 '10월 말 3분기 실적발표 전에 충당금 설정을 위해서라도 관련 중간 발표가 있지 않을까'란 전망이 나온다.

전기차 배터리는 화재 발생시 전소하므로 원인규명이 어렵다곤 하나 LG의 원인규명과 대책방지 발표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이번 사안 여파가 비단 LG 한 기업 뿐 아니라 업계 전반의 신뢰 문제로까지 튈 수 있다는 불안 때문이다.



업계는 이유를 불문, GM이 지적한 '음극탭 단선과 분리막 밀림(접힘)' 현상은 나와선 안될 불량이란 데 의견이 모인다. 업계, LG 의견을 모두 들어보면 배터리셀 제조단의 문제일수도, 모듈 제작과정에서 기인됐을 수도, 혹은 검수과정에서 제대로 걸리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 모든 가능성을 살펴 문제의 원인을 제대로 찾고 정확한 대책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

더 중요한 것은 오너를 포함, 최고경영진의 의지 일 수 있다. 필요하다면 외부 자문단을 꾸리고 제작·검수상 중대 이상이 발견되더라도 이 비판을 뼈아프게 받아들이고 반드시 개선시키겠단 사내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단 뜻이다. 책임질 이들이 있다면 이를 감수해야 할 테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발화 당시 수십만대 충·방전 실험 진행했고 국외검증기관 3곳에 의뢰했으며 700여명을 조사에 투입했다. 원인분석을 토대로 삼성전자는 기존 4~5개 단계 배터리 점검방식을 8단계로 대폭 강화하는 등 대책을 내놨다. 그룹, 고객사 관계, 배터리 크기 등 다 다르기 때문에 삼성과 LG를 직접 비교킨 어렵다. 그러나 외부에 치부가 될 수도 있는 조사를 맡길 만큼 품질 문제를 우선시했단 과감한 결단 만큼은 살펴볼 대목이다.

리콜조치가 발표되기 전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탑재하고 주행 중인 순수 전기차가 100만대를 돌파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대규모 적자에도 포기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미래를 내다보고 투자를 이어간 뚝심경영이 빛을 발한 것이란 평가들이 뒤따랐다. 잠깐 눈앞이 아닌 더 먼 미래를 내다보고 결정할 줄 아는 경영이 이번 화재 위험 조사에도 적용될까.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확한 원인분석과 근본적인 대책이 우선이다. 그래야만 '1등 배터리' LG의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자수첩]LG는 배터리 화재의 답을 찾을 수 있을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