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갑부 자산 15% 여기 투자..."임대업보다 낫다"

머니투데이 이민하 기자 2021.05.19 15:57
글자크기

[이노머니]로버트 김 캡록그룹 자산운영책임자 인터뷰

한국을 방문한 로버트 김 캡록그룹 자산운영책임자가 이달 초 서울 강남의 공유오피스에서 만나 "전세계적으로 ESG 부문 등 임팩트 투자 영역이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사진=이민하 기자한국을 방문한 로버트 김 캡록그룹 자산운영책임자가 이달 초 서울 강남의 공유오피스에서 만나 "전세계적으로 ESG 부문 등 임팩트 투자 영역이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사진=이민하 기자


"임팩트 투자는 기부가 아니에요. 분명한 투자의 영역입니다. 다만 자본 투자를 통해 수익을 쫓는 동시에 의미있는 사회적 가치까지 추구하는 점이 다릅니다. "

로버트 김 캡록(Caprock)그룹 자산운영책임자(사진)는 최근 서울의 한 공유오피스에서 기자와 만나 "미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수조원대 부를 일군 대기업 일가나 창업자들이 임팩트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임팩트 투자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투자 영역이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부문이 대표적이다.



2005년 설립된 캡록그룹은 미국 내 '멀티 패밀리오피스'다. 단일 가문이나 한 개인의 재산을 관리하는 전통적인 패밀리오피스와 달리 여러 고액자산가들의 재산을 맡아 관리한다. 현재 관리 중인 고객은 개인·가족·재단 등 150여곳이다. 대부분이 500억~5000억원 정도의 자산가들이다. 총 관리 자산은 약 65억달러(7조3000억원)다. 이 가운데 15%정도인 10억 달러(약 1조2000억원)를 임팩트 투자에 넣었다.

그는 "고객이 희망하는 투자 수익률을 목표로 자산을 관리하는 게 기본적인 패밀리오피스의 역할"이라며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수익뿐 아니라 고객이 추구하는 가치까지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이를 테면 고객이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거나 '가난한 아이들의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에 돈을 쓰고 싶다'고 하면 이에 맞는 투자처를 발굴하거나 운용사(GP)들한테 제안하는 식이다.



관리 자산 7조3000억원…ESG 등 임팩트투자 1조원 이상
김 자산운영책임자가 담당하는 고객 중 미국의 재단법인인 '액세스벤처스'는 자산의 93%를 ESG 등 임팩트 투자에 쓰고 있다. 배분 자산마다 사회적 가치를 고려해 투자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채권, 주식, 대안신용(Alternative Credit), 벤처캐피탈(VC), 부동산 등 여러 자산군에 투자하면서도 사회적 가치실현을 기본 테마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안신용 부문에서 투자한 '씨아이엠'(CIM)은 저신용자들에게 소액 대출을 하는 핀테크 플랫폼업체다. 부동산 부문은 저소득자를 위한 적정 가격의 주택사업인 '어포더블하우징(Affordable Housing)' 주택에 투자했다.

임팩트 투자 수익률이 일반 투자보다 떨어지지 않냐는 질문에 그는 "씨아이엠의 경우 대출자금을 펀드를 다양화하는 구조로 만들어 손실리스크를 회피, 지난해에도 시장수익률을 웃돌았다"며 "어포더블하우징도 가격은 저렴하지만 공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오히려 일반 임대업보다 위험이 적고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韓 임팩트 투자 등 사례 경험 공유
로버트 김 캡록그룹 자산운영책임자는 "한국에서 임팩트 투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가치와 투자 성과에서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이민하 기자로버트 김 캡록그룹 자산운영책임자는 "한국에서 임팩트 투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가치와 투자 성과에서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이민하 기자
김 자산운영책임자는 지금까지 100건 이상의 임팩트투자에 참여했다. 한국계 미국인으로 자산관리와 임팩트 투자 부문을 다 경험한 흔치 않은 인물이다. 아산나눔재단과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 소풍벤처스, 엠와이소셜컴퍼니(MYSK) 등 국내 기업, 재단, 임팩트 투자사에서 수시로 초청을 받는다. 주로 임팩트 투자와 결합한 자산관리전략 경험 등을 공유하는 세미나다.


그는 "미국에서도 임팩트 투자가 활발해진 게 몇 년되지 않았는데, 최근 들어 한국에서 관심이 급격히 커진 것 같다"며 "전통적인 자산가들보다 주로 성공한 30~50대 젊은 벤처기업가들 사이에서 자신들의 부와 영향력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하고 싶은 수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 시장에서도 임팩트 투자가 활성화되려면 정확한 정보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자산운영책임자는 "단순히 선한 의도만 가지고 접근해서는 성공적인 임팩트 투자를 만들어낼 수 없다"며 "자산가의 관심과 성향을 반영하더라도 원하는 목표 수익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현실적인 숫자로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