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잡겠다던 이재명 공공배달앱…사용 후기는 '시큰둥'

머니투데이 이동우 기자 2021.03.04 20:00
글자크기
서울 시내에서 배달 오토바이가 달리고 있다. / 사진=뉴시스서울 시내에서 배달 오토바이가 달리고 있다. / 사진=뉴시스


코로나19(COVID-19) 영향으로 확산된 비대면 특수로 배달앱 시장이 크게 성장하지만 정작 공공배달앱이 시장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도 각 지자체는 앞다퉈 공공배달앱 출시·운영에 열을 올리고 있다. 소상공인들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이나, 일각에서는 과도한 시장개입과 세금 낭비라는 비판이 나온다.

1호 공공앱 ‘배달의 명수’ 실적 부진에도…지자체 출시 경쟁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왼쪽), 배달의명수(오른쪽)/ 사진=각 어플리케이션 캡처공공배달앱 배달특급(왼쪽), 배달의명수(오른쪽)/ 사진=각 어플리케이션 캡처
국내 1호 공공배달앱인 전북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 지난해 3월 선보인 이후 7개월 만인 10월 이용자가 3만218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줄곧 하락세다. 올해 1월에는 이용자 수가 1만20명으로 급감해 출시 초창기 수준으로 돌아갔다. 군산지역 맘카페에는 “앱이 자주 다운된다”, “배민이나 요기요에 비해 가맹점이 적다”, “배민이 쿠폰을 자주 줘서 더 좋다” 등의 부정적 반응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지난해 12월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은 안정적인 확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경기도주식회사에 따르면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은 지난달 가입자수 17만명과 거래액 3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1월에는 전체 배달앱 시장에서 점유율 1%를 기록하며 공공배달앱의 성공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

하지만 배달특급 결제액 가운데 67%가 경기 지역화폐를 이용한 것으로 ‘반짝 흥행’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지역화폐 없이 배달특급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을 지 의문이라는 시각이다. 화성시민 신모씨(35)는 “지역화폐가 있어 호기심에 배달특급을 이용해 봤는데, 일반 배달앱과 큰 차이는 없었다”면서도 “일반 배달앱이 리뷰도 많고, 포인트도 적립이나 할인 혜택이 있어서 계속 배달특급을 이용할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미 출시된 공공배달앱들의 성과가 엇갈리는 가운데, 전국 지자체들이 앞다퉈 공공배달앱 출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거제시에서 지난 1일 경남 1호로 ‘배달올거제’를 출시한 데 이어 이달 출시가 예정된 경남 진주 ‘배달의 진주’, 전남 여수 ‘씽씽여수’, 충북 제천 ‘배달모아’, 다음 달 경북 경주 ‘달달’ 등이 줄줄이 출시될 전망이다. 공공배달앱의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광고료·중개 수수료가 0∼2%로 6∼12% 수수료를 받는 기존 배달앱보다 소상공인 부담이 덜하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5∼10%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 등)로 결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공공배달앱이 서비스 측면에서 기존 민간 앱과 비교해 차별점이 없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가맹주 입장에서도 주문서가 자동으로 나오는 등 시스템이 월등한 민간 앱 대신 공공배달앱을 쓸 유인이 떨어진다는 반응이 많다.

‘서비스 혁신, 주문 자동화’ 민간 기업과 경쟁? 전문가 “쉽지 않아”
/사진=쿠팡이츠/사진=쿠팡이츠
IT업계에서는 공공배달앱의 성공가능성을 낮게본다. 지속적인 서비스 관리와 경영 혁신이 이뤄지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국배달음식협회, 한국외식산업협회 등도 수수료가 없는 무료 배달앱을 출시했지만 소비자의 외면으로 잇따라 실패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착한 소비’라는 좋은 의도도 소비자의 편의성을 자극하지 못하면 지속하기가 쉽지 않다“며 ”배달앱은 지속적으로 고객, 가맹주와 소통하면서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야 하는데 공공 측면에서 마케팅이나 가맹점 관리 등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예산과 운영 계획 등에서 면밀한 검토 없이는 공공배달앱이 성공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지자체가 중소기업의 브랜드 개발을 지원하다 유명무실화된 ‘공동브랜드’의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유통학회 명예회장인 김익성 동덕여대 교수는 “공공앱은 결국 정부나 지자체가 재정적 지원을 한다는 전제로 이뤄지는 것”이라며 “소상공인 수수료를 적게 받기 위해서는 수익을 남기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사업의 동기가 없기 때문에 지속 가능성에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기업들은 경영관리에서 투자를 지속하고 있는데 지자체가 이런 것을 따라갈 수 있을 지 의문”이라며 “재정 지원이나 서비스, 투자 계획 등을 면밀하게 고민하고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