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당이 '두터운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국채 발행 규모가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전망에서다.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도 우리 국채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1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8일 이후 연 1.8%선을 꾸준히 웃돌고 있다. 이날은 전날보다 0.021%포인트 내린 연 1.850%에 거래를 마감했지만 설 연휴 이전 수준으로 내려가지는 않았다.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1.8%대를 기록한 것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이 반영됐던 2019년 11월 이후 15개월 만이다.
4차 재난지원금도 여전히 국채 금리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보편지급 대신 선별지급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지원대상을 3차 때보다 늘려 15~20조원 가량의 재원이 예상되면서다. 현재 남은 정부 목적예비비가 2조원에 그치고 연초 사업변경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최대 20조원의 국고채가 추가발행될 것이란 게 시장의 예측이다.

시장은 앞으로 추경·단순매입 규모가 가장 큰 변수라고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3월 중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해서는 이달 안에 국고채 발행규모와 한은 단순매입 규모도 결정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주열 총재는 이미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변동성이 커질 경우 국고채 단순매입과 그 이상의 여러방안도 준비해 시장안정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 관계자는 "아직 추경 규모도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은의 역할을 언급하긴 이르다"면서도 "시장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추경으로 국고채 추가발행량의 3분의 1 가량을 한은이 매입해줬다"며 "이번에도 한은이 추가발행되는 국고채 물량의 3분의1 가량을 소화해 국고채 10년물 금리를 1.75%까지 안정시켜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훈 연구원도 "국채발행량이 정해지고 나면 한은의 단순매입이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이라며 "2분기 이후 경기회복 본격화나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1.8% 안팎에서 등락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