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재계 4대 그룹(삼성·SK·LG·현대차) 상장 계열사 59곳의 시가총액은 전날 기준 총 1238조1300억원에 달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주가가 급락하기 전인 2019년 말 777조6800억원에서 1년 남짓 기간 동안 460조4500억원이 급증한 셈이다. 증가율은 59%에 달한다. 4대 그룹이 코스피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말 55%에서 60%로 커졌다.

4대 그룹 중 시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단연 삼성그룹이다. 상장 계열사 16곳을 합한 삼성그룹의 시총은 729조8200억원이다. 2019년 말 대비 약 254조원(53%) 증가했다.
삼성전자 (82,100원 ▼300 -0.4%) 한 곳만 520조5700억원으로 1년여 간 187조400억원이 늘었다. 2019년 말 333조원에서 지난해 말 480조원을 넘어서더니 올해는 520조원을 웃도는 규모로 성장했다. 글로벌 반도체 호황 기대감에 대형주 장세 덕을 톡톡히 봤다.
각각 코로나 백신, 전기차 배터리라는 성장 산업을 장착한 삼성바이오로직스 (719,000원 ▼29000 -3.9%), 삼성SDI (671,000원 ▼7000 -1.0%)도 최근 1년새 시총이 약 2배 늘어 50조원 반열에 올랐다.
절대적 시총 규모는 SK그룹주(18개)이 194조8800억원으로 2번째다. 이어 LG그룹(162조3100억원), 현대차그룹(151조1225억원) 순서였다.
그러나 증가율로 보면 LG그룹이 단연 선두다. LG그룹주(13개) 시총은 162조3100억원으로 2019년 말 대비 77조8700억원(92%) 증가했다.
LG화학 (904,000원 ▲39000 +4.5%)이 전기차 배터리 업체로 탈바꿈하면서 100만원 황제주로 성장한 영향이다. LG화학은 2019년말까지만 해도 22조원 짜리 기업이었는데 이젠 70조원을 웃도는 덩치를 자랑한다.
LG전자 (148,500원 ▲2500 +1.7%)도 같은 기간 11조8000억원에서 전날 27조3300억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LG (90,800원 ▼1200 -1.3%)(47%) LG디스플레이 (22,500원 ▼200 -0.9%)(31%), 실리콘웍스 (65,000원 ▼1200 -1.8%)(88%), LG상사 (27,000원 ▼500 -1.8%)(86%) 등이 고루게 성장했다. 덕분에 LG그룹은 시총 순위도 종전 4위에서 3위로 한 단계 올라섰다.

현대차그룹(12개)은 전날 합산 시총이 151조1200억원으로 같은 기간 63조1500억원(72%) 증가했다.
4대 그룹 중 유일하게 지난해보다 올해 상승폭이 더 크다. 지난해 시총 증가액은 26조6300억원, 올해는 36조5300억원이다.
현대차 (235,000원 -0) 시총은 2019년말 25조원 수준에서 전날 55조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기아차 (81,100원 ▲2400 +3.0%) 역시 약 18조원에서 35조원으로 기업가치가 상승했다. 특히 기아차는 현대모비스 (305,000원 ▼5500 -1.8%)를 꺾고 그룹 2인자 자리를 꿰찼다. 현대모비스도 이 기간 24조원에서 32조원으로 증가했다.
그룹 전체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성장 엔진을 단 덕분에 대부분 계열사 시총이 20% 이상 증가했다. 유일하게 그룹 광고대행사인 이노션 (60,400원 ▲100 +0.2%)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SK그룹주(18개)는 전날 합산 시총이 194조8800억원으로 200조원 달성을 눈 앞에 뒀다. 2019년말 대비 65조원 이상 증가했다.
시총 2위인 SK하이닉스 (140,000원 ▼2000 -1.4%) 기업가치가 2019년말 68조원에서 전날 95조원으로 높아진 덕분이다. SK바이오팜 (109,500원 ▼1000 -0.9%)(시총 11조5900억원)이 신규 상장하고 SK이노베이션 (252,000원 ▼12000 -4.5%)이 정유주에서 배터리주로 탈바꿈하면서 시총이 약 2배 늘어났다. SK케미칼 (315,000원 ▼500 -0.2%)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생산에 힘입어 주가가 5배 뛴 것도 영향을 미쳤다.